대만 젊은 여성의 46%가 출산 의향이 없다… 경제적 부담이 주된 이유

[email protected]



대만의 15~24세 여성들 중 46%가 미래에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설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는 2019년 조사에서 31%였던 비율이 5년 만에 15%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저출산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만 위생복리부가 공개한 ‘여성의 생활 상황 조사’에 따르면, 15세에서 64세 사이의 여성 중 출산을 원치 않는 비율은 2019년 19.2%에서 지난해 26.6%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분석에 따르면, 15~24세 여성의 출산 의향 비율은 31.3%에서 45.9%로 급증했으며, 25~34세 여성 역시 같은 기간 동안 27.3%에서 37.4%로 증가하였다. 35~44세와 45~54세, 55~64세 여성의 비율도 각각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전 세대에 걸쳐 출산 의향이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응답자들의 주요 이유는 ‘경제적 부담이 크다'(60.3%)는 것이며, 다음으로는 ‘자녀 때문에 현재의 삶을 바꾸고 싶지 않다'(49.4%), ‘아이의 교육과 미래에 대한 걱정'(34.3%), ‘돌보는 시간이 부족할까 걱정된다'(2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육아의 부담과 경력 단절이 여성들의 출산 의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이를 둔 기혼 여성은 평균 4.41시간을 가사와 육아에 할애하고 있으며, 이는 남성 배우자의 1.72시간에 비해 훨씬 더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이 직장과 가정 내에서 여성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뤼젠더 대만 위생복리부 정무차장은 “저출산 문제는 선진국 모두의 공통된 과제이며, 여성의 교육 수준과 취업 비율의 증가로 결혼과 출산이 뒤로 밀리는 경향이 있지만, 전통적인 가정 내에서는 여성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대만의 상황은 한국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20~49세 남녀 중 43%가 출산 의향이 없다고 답했으며, 그 중 44%는 정부 정책이나 기업의 지원이 확대될 경우 출산을 고려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여기서도 여성의 출산 의향 비율이 남성보다 현저히 높았다. 여성은 ‘아이를 낳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13.9%)거나 ‘자녀 양육에 경제적 여유가 없다'(12.7%)고 언급했으며, 남성은 ‘직업 불안정'(17.9%)을 주된 이유로 들었다.

결론적으로, 대만과 한국 모두에서 젊은 여성의 출산 의향 저하는 경제적 부담과 사회적 지원 부족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