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토, 도쿄 정부 청사 화단에 사용

[email protected]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발생한 방사능 오염 흙이 도쿄 도심에 위치한 정부 청사의 화단으로 옮겨졌다. 일본 정부가 이 제염토의 재활용 의도를 드러내며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려 하고 있는 상황이다. 14일, 환경성과 경제산업성, 부흥청이 위치한 도쿄 가스미가세키 청사 화단에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생성된 45㎥의 제염토가 투입되었다. 이 청사는 도쿄 도심의 핵심 지역으로 유동 인구가 많다.

작업 방식은 55㎝ 깊이에 제염토를 매립하고 그 위에 일반 토양을 20㎝ 두께로 덮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지난 7월 일본 총리 관저의 앞마당에 제염토를 사용한 사례에 이어 두 번째로, 이처럼 정부 청사에서 오염토가 사용된 것은 의미가 크다. 당시 총리 관저에는 2㎥의 제염토가 사용되었으며, 그 위에 일반 흙과 잔디가 덮여졌다.

제염토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오염 방지 작업의 일환으로 주변 지역의 흙을 걷어내면서 발생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2045년까지 이 제염토를 후쿠시마 외부에서 최종 처분하겠다는 법적 원칙을 세웠다. 현재까지 저장시설에는 약 1410만m³의 제염토가 보관되어 있으며, 이는 도쿄돔 약 11개를 채울 수 있는 양이다.

정부는 제염토의 방사성 수치를 최대한 낮추기 위해 이를 도로와 철도 건설, 공공시설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제염토의 방사능 세슘 농도 기준을 1㎏당 8000베크렐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이번에 도입된 토양의 방사성 세슘 농도는 약 4000베크렐로, 기준치의 절반 수준이다.

시민들의 거부감 때문에 제염토 활용이 어려웠던 상황에서, 일본 정부는 정부 청사와 관저에서부터 제염토 활용을 시작함으로써 주민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전략을 펴고 있다. 환경성 관계자는 “공사 전후 방사선량은 거의 동일하며, 측정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과 주민 불안은 여전히 존재한다. 도쿄를 포함한 후쿠시마 외 지역에서의 제염토 이용은 주민들의 강한 반발을 이겨내지 못하고 계속해서 무산되어온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작업이 제염토의 전국적 활용을 위한 기초를 닦는 의도라고 지적하며 여성들과 주민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