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관만 해도 수익”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투자 전 알아야 할 3가지

[email protected]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정기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전통적인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나 USDC가 단순히 달러에 가치를 고정하는 역할에 그쳤다면,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은 지갑에 보관하기만 해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투자 모델에 뛰어들기 전에는 수익이 발생하는 방식과 관련된 법률 및 세금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모델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국채 및 머니마켓 펀드 기반의 토큰화 모델이다. 이는 안전한 전통 자산으로 뒷받침되어 해당 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토큰 홀더에게 분배하는 구조를 띠고 있다. 둘째는 디파이(DeFi) 기반의 절약 모델로, 사용자가 다이(DAI)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하면 프로토콜이 정한 이자율에 따라 sDAI와 같은 포장된 토큰이 발행되어 잔고가 자동적으로 증가하는 방식이다. 셋째는 파생상품 전략 및 스테이킹 수익을 활용한 합성 수익형 모델로, 이 모델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으나 그만큼 더 많은 변동성과 위험을 동반한다.

이러한 스테이블코인들은 지갑에 보관하는 것만으로도 수익이 발생하지만, 각 플랫폼의 취득 방식과 관련 규제가 상이하다는 점도 중요하다. 대다수의 토큰은 중앙화 거래소나 프로토콜 웹사이트에서 구매할 수 있지만, 몇몇은 국가별 규제로 인해 특정 지역의 사용자만 이용 가능하다. 특히 미국에서는 토큰 발행자가 이자를 지급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토큰화된 국채 기반 코인은 주로 해외 사용자에게만 제공된다.

스테이블코인을 직접 발행하는 ‘민팅’은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USDC의 발행사인 서클(Circle)은 일반 사용자가 직접 달러를 예치해 토큰을 발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대부분은 이미 유통 중인 USDC를 시장에서 구매해야 한다. 이런 구조는 기관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전제로 있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의 접근성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보유 후에는 수익의 발생 방식에 따라 리베이스(잔고 증가) 또는 토큰 가치 상승 형태로 수익이 반영된다. 또한 디파이 플랫폼에서 추가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지만, 그만큼 복잡성과 리스크도 증대된다. 특히 수익에 대한 세금 처리는 주의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익이 발생한 시점에 이를 소득으로 간주하여 과세되므로, 수익 발생 날짜와 금액을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는 온도 파이낸스(Ondo Finance)의 USDY와 메이커다오의 후신 스카이(Sky)가 제공하는 sDAI와 같은 예시가 있다. USDY는 미국 국채와 은행 예금을 기반으로 한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으로, 그러나 오직 미국 외 지역 사용자에게만 제공된다. sDAI는 다이를 예치해 수익을 얻는 포장 토큰 형태로, 디파이 생태계 전반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이 실질적인 가치 보전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합성 자산 구조, 변동성이 큰 수익원, 스마트 계약 리스크 등 다양한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향후 규제의 변화에 따라 이러한 상품들이 새로운 법적 해석이나 규제의 적용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극도로 변화하는 암호화폐 환경 속에서 투자자들은 변동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은 투자자에게 새로운 형태의 패시브 인컴 생성 도구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지만, 이에 따른 투자 리스크와 법적 책임을 명확히 인식하고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