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머타임(일광절약시간제)을 폐지하면 미국에서 매년 약 260여 만 명의 비만과 30여 만 명의 뇌졸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제이미 자이처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교수팀의 연구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서머타임, 영구 표준시, 영구 서머타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 실험을 통해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서머타임을 폐지하고 영구 표준시로 전환할 경우 전국적으로 비만 유병률은 0.78% 낮아지고, 뇌졸중 발생률도 0.09% 감소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서머타임을 고정하여 영구 서머타임을 도입할 경우 비만은 0.51%, 뇌졸중 역시 0.09%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수치가 작은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 영구 표준시를 도입할 경우 매년 260만2800여 명의 비만 환자와 30만6900여 명의 뇌졸중 환자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영구 서머타임의 경우에도 비만 환자는 약 170만5400명, 뇌졸중 환자는 22만 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자이처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서머타임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보다 표준시를 고정하는 것이 건강에 더 유리하다”라며, 일주기 관점에서 서머타임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 연구가 기후와 지리적 요인, 개인의 생활 습관 등 다양한 변수를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즉, 서로 다른 시간 정책의 건강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을 증명할 수 있는 점은 아니라는 것이다.
현재 미국과 유럽의 많은 국가들은 매년 봄에 시계를 한 시간 앞당기고, 가을에는 다시 표준시로 돌아가는 서머타임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은 1949년부터 1961년까지 서머타임을 운영했으나 1988년 서울올림픽을 위해 다시 시행됐다가, 그 이후 1989년부터 폐지됐다. 이번 연구를 통해 서머타임 폐지의 건강적 이점이 부각됨에 따라, 향후 국제적인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