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드 필로우스, 암호화폐 ‘가짜 상승장’ 경고…시총 하루 만에 69조 원 증발

[email protected]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심각한 변동성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저명한 투자자인 테드 필로우스(Ted Pillows)가 ‘가짜 상승장(Fake Pumps)’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그는 투자자들에게 현재의 반등세를 맹신하지 말 것을 당부하며, 이는 폭락장의 전조일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약 500억 달러, 즉 한화로 약 69조 5천억 원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필로우스는 그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번 하락은 시작에 불과하다”며, 일시적인 가격 상승이 장기적으로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그가 지적한 ‘가짜 펌핑’이란 실제 수요보다 심리적 요인이나 과장된 마케팅에 의해 발생하는 가격 상승을 의미한다. 그는 현재의 반등 역시 이러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의 경고는 단순한 단순한 예측에 그치지 않는다. 필로우스는 시장의 청산 지도를 공개하며 다수 자산이 청산 구간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데이터를 제시했다. 이는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리플(XRP) 등 주요 암호화폐에서 폭넓은 매도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5년 9월 이후의 지속적인 하락세는 오는 10월에 대한 반등 기대감에 추가적인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이번 경고는 과거의 사례와도 유사성을 갖고 있다. 지난 7월에도 하루 만에 약 5억 8,500만 달러, 한화로 약 8조 1,315억 원에 달하는 암호화폐가 시장에서 사라졌으며, 당시에는 이더리움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이후 일부 회복이 있었지만, 근본적인 불안감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도 여러 알트코인으로 자금이 이동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하락 압력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번 상황에도 변수는 존재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 17일에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이러한 조치는 주식 시장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에도 긍정적인 심리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는 필로우스의 경고와 다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시장은 금리 결정과 같은 외부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필로우스는 “시장 바닥은 아직 요원하다”고 강조하며, 투자자들에게 신중한 접근을 권장했다. 그는 매수세 회복 전에는 긍정적인 뉴스보다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경고는 단순한 공포심 조장이 아닌, 시장에 대한 실질적인 경고음일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그의 지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