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은행업계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은행들은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이 예금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약 1,870억 달러(약 260조원)에 달하는 결제 수수료 수익을 보호하려는 의도가 더 강하다는 반박이 나오고 있다.
코인베이스의 정책 최고책임자인 파리야르 시르자드는 최근 트위터를 통해 “은행들이 스테이블코인이 기존 결제 시스템을 대체하면서 수익이 줄어들 것을 가장 두려워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미국 의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GENIUS 법안과 관련이 깊다. GENIUS 법안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규제를 정립하고 사용자들에게 안전한 선택권을 제공하기 위한 초당적 제안으로, 금융권에서는 이를 통해 예금이 대거 스테이블코인으로 이전되면서 대출 능력에 타격이 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코인베이스와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계는 반대로 주장한다. 그들은 스테이블코인이 결제 수단으로서의 본질을 가지고 있으며, 예금 유출을 초래할 뚜렷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설명한다. 시르자드는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기술 혁신의 일환으로, 과거에도 은행들이 변화에 반대해 온 것과 유사하다”고 비판했다.
은행업계의 의견 변화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초기에는 GENIUS 법안에 찬성하던 몇몇 은행들이 최근 반대 입장으로 선회한 것은, 사실상 자신들의 기득권 보호를 위한 방어적 전략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는 이를 ‘시장 독점 유지에 대한 명분 쌓기’로 보고 있다.
이번 갈등은 트럼프 행정부가 암호화폐 산업에 우호적인 정책을 취한 이후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규제 강화가 진행되자, 기존 금융권의 위기감이 커졌다는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은행과 블록체인 산업 간의 갈등은 단순한 기술에 대한 논쟁을 넘어, 미래 금융시장에서의 주도권을 둘러싼 근본적인 전투로 해석되고 있다.
GENIUS 법안의 결과에 따라서 미국 금융 시스템에 예상치 못한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변화는 금융업계와 암호화폐 간의 갈등을 넘어서는 큰 구조적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