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미국 법무부(DOJ)와의 합의 조건 중 하나인 독립 컴플라이언스 감시인 설치 조항의 조기 해제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조치가 최종 승인될 경우, 바이낸스는 규제 및 내부 준수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블룸버그의 보도에 따르면, 현재 법무부는 바이낸스의 규제 준수 시스템이 독립 감시인 없이도 충분히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논의는 2023년 체결된 43억 달러 규모의 합의안에 통합된 3년 기한 감시인 지정 조치와 관련이 깊다. 이 감시는 바이낸스가 자금세탁방지(AML), 즉 불법 자금 세탁 방지 관련 내부 통제에 여러 차례 실패한 의혹에 따라 도입되었다.
법무부와의 합의는 바이낸스의 글로벌 본사에 적용되며, 이는 미국 내 별도의 법인으로 운영되는 바이낸스.US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그러나 감시 조항은 미국 정부가 바이낸스를 효과적으로 감독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해 왔으며, 이번 변경 논의는 바이낸스가 미국 규제 당국과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의 신호를 보이고 있다는 해석을 낳고 있다.
바이낸스 측은 법무부와의 협상 내용을 구체적으로 공개하기를 꺼리고 있지만, 이번 협상이 진행되는 시점은 암호화폐 기업들이 새로운 환경 속에서 직면하고 있는 역할과 책임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만큼, 업계 내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바이낸스가 법무부와의 협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경우, 이는 단순한 내부 운영의 소통을 넘어 기업의 글로벌 운영에도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규제 환경 변화가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중요하게 보고 있으며, 바이낸스와 같은 대형 거래소의 발걸음이 업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바이낸스는 전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바이낸스와 법무부 간의 협상 결과는 향후 암호화폐 규제 및 기업 운영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