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와 의약품에 더 높은 관세 부과 가능성 언급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 자동차에 부과되는 25%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백악관을 떠나기 전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일부 국가에 자동차 관세를 인하한 결정과 관련해 “어떤 타협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일본, 유럽연합(EU), 한국과의 무역 합의에서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었다. 그러나 이는 일본에만 적용되고, 이로 인해 미국 자동차 업계에서 피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처음으로 25%의 자동차 관세를 부과한 사례를 언급하며 “몇 년간 관세를 내지 않았던 그들이 이제는 15%를 내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반도체와 의약품의 이익률이 더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해 더 높은 관세를 적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전에는 반도체에 최대 100%, 의약품에 150~25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와 일본이 미국에 각각 9500억 달러와 6500억 달러를 관세로 내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는 그가 집권하기 전까지는 단 한 푼도 내지 않았던 기업과 국가들에 대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연방대법원에서 진행 중인 관세 소송에 대해 “법률 전문가들은 우리가 승리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지켜봐야 한다”면서 “대법원은 훌륭하고 매우 공정한 재판소”라고 평가했다. 그의 발언에 따르면, 만약 관세 소송에서 승리한다면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가 될 것이며, 국민의 부채를 줄이고 다른 나라들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틱톡 매각에 관한 합의가 이루어졌음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그는 “중국과의 합의에 도달했고, 금요일(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해 모든 사항을 조정할 예정”이라고 전했으며,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인수하려는 “매우 큰 기업들이 있다”고 추가했다.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영국 국빈 방문에 앞선 것으로, 그는 이번 방문에서 찰스 3세 국왕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를 만날 예정이다. 이러한 일련의 논의는 미국의 무역 정책과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목을 더욱 끌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