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대미 무역 흑자액이 2023년 8월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0.5% 감소한 3240억 엔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몇 가지 주요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본 재무성이 17일 발표한 무역통계에 따르면, 8월 대미 수출액은 1조 3855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줄어들었고, 이는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낸다. 동시에 대미 수입액은 11.6% 증가한 1조 615억 엔으로 집계되었다.
이로 인해 전체 무역수지는 2425억 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러한 무역 적자는 지난 두 달 간 계속되고 있으며, 수출액은 0.1%, 수입액은 5.2% 각각 감소했다. 특히 일본의 핵심 수출 품목인 자동차의 대미 수출액은 3076억 엔으로, 전년 대비 28.4% 감소하였다. 수출 대수 또한 8만 6480대로 9.5% 줄어들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외에도 건설용 및 광산용 기계의 대미 수출액이 26.1% 줄어들었고, 반도체 등 제조 장비의 대미 수출은 38.9%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감소세가 나타났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제조업체들은 관세 인상의 영향에서 비교적 덜 영향을 받는 저렴한 차종의 수출을 증가시키려는 경향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가 27.5%에서 15%로 낮아지면서, 이러한 변화가 자동차 수출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와 같은 일본의 주력 수출 품목에서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향후 일본 경제와 무역 환경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 전문가들은 일본의 대미 무역 흑자가 감소한 배경에는 미국의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문제 등이 있을 것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일본 내부의 경제 성장은 물론 세계 경제의 동향도 지속적으로 주목해야 할 사항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본 정부와 기업들은 무역 회복을 위한 새로운 전략과 정책을 모색해야 할 때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