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등세 보이는 ‘밈코어’, 차세대 밈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주목

[email protected]



밈(Meme) 콘텐츠를 중심으로 설계된 레이어 1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밈코어(MemeCore)’가 최근 빠른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와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밈코어는 기존의 밈 코인들과는 달리, 밈 콘텐츠의 창작과 유통을 위한 독립적인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차세대 밈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인 ‘PoM(Proof of Meme)’을 도입하여, 밈 생성 및 확산 활동을 블록체인 보상 구조와 연계하고 있다.

2025년 9월 17일 기준으로, 밈코어의 시가총액은 약 26억 달러에 달하며, 최근 1년간 약 477.88%, 전체 기준으로는 무려 4172.99%의 폭등세를 기록했다. 이 같은 급등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최한 ‘$TRUMP’ 토큰 홀더 만찬에서 밈코어가 해당 토큰의 글로벌 2위 보유자로 확인된 이후 시작됐다. 이어 바이낸스 선물 시장에 상장되면서 투기 수요가 급격히 유입됐다.

현재 밈코어는 50억 개의 토큰 중 58%를 커뮤니티 인센티브에 배정하여, 커뮤니티 주도의 경제 구조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과 호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 분석 지표에서는 과열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RSI(상대강도지수)가 70을 넘긴 상황에서 가격은 상승하고 있지만 RSI의 고점은 낮아지는 ‘하락 다이버전스’ 현상이 나타나 단기 조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밈코어는 수수료 소각과 스테이킹 락업 구조를 결합한 ‘이중 디플레이션’ 모델을 통해 토큰의 희소성을 강화하고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더불어 투자자와 재단, 팀의 물량은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해제되는 락업 구조를 마련하여 장기적인 공급 조절 장치를 마련했다.

한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밈코어는 코스닥 상장사 인수를 추진하고 있으며, 가상자산 사업자 등록 및 ISMS 인증 획득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해외에서는 주요 글로벌 행사와 투자자 대상 이벤트를 통해 프로젝트의 인지도를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리포트는 밈코어의 기술력과 생태계 구성의 혁신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현재 가격은 펀더멘털보다는 투기적 수요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했다. 따라서 보유자에게는 일부 차익 실현을 통한 리스크 관리를 권장하며, 신규 투자자에게는 가격 조정 이후 단계적 진입을 추천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