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전 세계에서 비트코인이 처음 등장했을 당시, 박용수가 비트코인을 채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확실한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어느 누구도 당시 비트코인을 채굴했다고 증명하기 어려운 현실 속에서, 박용수의 이야기 또한 검증의 여지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는 비트코인 지갑 주소나 비밀키는 모른다고 하며, 그가 채굴했다고 주장하는 노트북은 포맷되어 관련 데이터가 모두 사라졌다고 밝혔다.
그는 2009년 하반기에 비트코인 채굴을 위해 윈도우 운영체제를 삭제하고 리눅스(Linux)를 설치했다고 언급했다. 당시의 채굴 소프트웨어는 리눅스와 윈도우 두 가지 버전이 존재했으며, 초기 개발자들과 채굴자들은 오픈소스 환경과 프로그램 호환성의 이유로 리눅스를 선호했다. 박용수의 이 같은 결정은 비트코인 채굴의 초기 환경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지만, 리눅스가 1991년에 출시된 것을 감안하면 그의 주장을 단순히 믿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박용수가 비트코인의 개념을 받아들이기 이전, 그는 사토시 나카모토의 백서를 조사하며 비트코인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했다. 하지만 그는 비트코인이 단순한 전자화폐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많은 이들이 알려진 바와 같이, 사토시 나카모토의 논문 제목은 ‘비트코인: P2P 전자 화폐 시스템’이었다. 박용수는 이를 신종 데이터베이스로 이해하며, 민감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트코인을 고려했다.
그의 초기 비트코인 채굴 경험이 어떻게 이어졌는지, 그리고 박용수와 그의 동료가 실제로 한국에서 첫 번째 채굴자가 되기 위해 어떤 경로를 걸어왔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향후 연재에서 더욱 깊이 다뤄질 예정이다. 이 시리즈는 한국 암호화폐 산업의 뿌리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전체적인 이야기를 통해 한국 암호화폐 산업의 발전과 관련하여, 박용수와 그의 동료들의 선택이 오늘날의 암호화폐 생태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지속적으로 새로운 에피소드가 공개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과 기대를 부탁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