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이더리움(ETH)과 솔라나(SOL)가 긍정적인 자금 유입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비트코인(BTC)은 자금 유출세를 나타내고 있다. 17일 크립토미터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미국 달러(USD) 기준으로 총 7500만 달러가 암호화폐 시장에 유입되었으며, 이 중 절반이 넘는 5010만 달러가 솔라나로 흡수됐다. 또한 1380만 달러는 XRP로 이동했으며, 460만 달러는 TOSHI로 유입되었다. 나머지 자금은 SEI, SUI, AERO 등 다양한 암호화폐로 분산되었다.
유로화(EUR)에서는 4370만 달러가 유입되었고, 이 자금은 이더리움(2520만 달러)과 비트코인(1440만 달러)으로 나뉘었다. 한국 원화(KRW)로는 3060만 달러가 유입되었고, 이 중 1970만 달러가 테더(USDT)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 엔화(JPY)도 1610만 달러가 들어와 전액 비트코인으로 전환됐다. 터키 리라(TRY)와 브라질 헤알(BRL) 역시 각각 870만 달러와 480만 달러가 전부 USDT로 흡수되었다.
특히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는 16570만 달러 상당의 자금을 이끌었으며, 이중 5100만 달러가 이더리움으로, 3730만 달러는 FDUSD로, 2410만 달러는 BNB로 이동하였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스테이블코인의 중요한 역할을 보여준다.
반면 자금 유출 측면에서는 XRP에서 총 5030만 달러가 이탈했는데, 이 자금은 USDT(3350만 달러)와 한국 원화(830만 달러) 등으로 분산됐다. 도지코인(DOGE)에서도 총 4710만 달러가 이탈하며, 이는 USDT(3000만 달러), USD(1370만 달러), USDC(340만 달러)로의 전환이 두드러졌다. 솔라나(SOL)도 2750만 달러의 유출을 기록했으며, 이 중 많은 자금이 USDT와 이더리움으로 이동했다.
비트코인(BTC)에서는 총 3억6320만 달러의 자금이 움직였고, 이중 1억4740만 달러가 FDUSD로, 1억2620만 달러는 USD로 분산됐다. 이더리움(ETH) 또한 이날 7760만 달러가 빠져나갔으며, 특히 USD와 FDUSD로의 유출이 주를 이루었다.
최종적으로 이날의 자금 흐름을 분석해 보면, USDT는 37820만 달러를 모으며 시장 내 중요한 자금 유입처로 기능했다. 이 가운데 1110만 달러는 USD로 재전환되었고, FDUSD로 1억7150만 달러가 유입되었다. 그러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유출세가 우세한 상황 속에, 향후 각 암호화폐의 시장 전망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