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코인이 다가오는 토큰2049 컨퍼런스를 앞두고 주요 업데이트 소식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파이코인은 약 0.356달러(한화 약 480원)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올해 초 약 3달러(약 4천 원) 수준에서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그러나 생태계의 확장과 기술적 발전 덕분에 가격 회복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29억 달러(한화 약 3조 9천억 원)로, 올해 2월에 형성된 최고점인 180억 달러(약 24조 3천억 원) 대비 약 180억 달러가 증발했다. 24시간 동안의 거래량도 약 2,381만 달러로, 전일 대비 43.7% 감소하면서 거래의 활기가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가격 조정에도 불구하고 파이네트워크의 생태계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6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와 80개 이상의 분산형 애플리케이션(dApp)이 운영되고 있다. 다만, 여러 경쟁 프로젝트와 비교했을 때 유동성과 인프라 측면에서 뒤처져 있다는 평가도 있다.
최근 테스트넷에서의 프로토콜 버전 23 업그레이드는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개선하고 스텔라(Stellar)와의 호환성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는 메인넷 전환을 앞두고 파이네트워크의 기술적인 기반을 강화하는 중요한 조치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토큰2049 컨퍼런스는 파이네트워크의 향후 로드맵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이벤트다. 공동 창업자 청디아오 판(Chengdiao Fan)이 기조연설을 통해 메인넷 출시 일정 및 추가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주요 거래소 상장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 행사에서 메인넷 전환 일정이 확정될 경우 투자 심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파이코인이 유틸리티 확장과 광범위한 사용자 층을 기반으로 2026년까지 50%의 가치 상승 여력이 있다고 전망하면서도, 1달러(약 1,340원)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모멘텀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파이네트워크는 추천 기반의 마이닝 모델로 인해 규제 기관의 감시를 받고 있으며, AI 기반 인증 시스템(KYC)과 토큰 락업 메커니즘을 통해 이러한 리스크에 대응하고 있다.
최근 90일 동안 파이코인은 약 33.38% 하락하는 등 회복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일주일 동안에는 약 3.76% 상승하여 방향 전환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토큰2049 컨퍼런스 이후 발표되는 내용이 향후 가격 방향성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