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론 머스크의 트랜스젠더 딸 비비안 제나 윌슨(21)이 지난 12일부터 15일까지 열린 뉴욕패션위크에서 모델로 데뷔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이번 무대는 단순한 패션쇼가 아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트랜스젠더 권리 제한 정책에 대한 비판을 담은 ‘정치적 상징’으로 해석되고 있다.
비비안은 뉴욕패션위크에서 4곳의 런웨이에 서며, 표현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전하는 데 집중했다. 첫 번째 쇼는 ‘미스 USA 1991’을 주제로 한 액세서리 디자이너 알렉시스 비타르의 쇼로, 모든 모델이 트랜스젠더 여성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델들은 보수적인 지역의 이름이 적힌 어깨띠를 착용하고 있었다. 이는 과거 1996년부터 2015년까지 ‘미스 USA’ 운영권을 소유했던 트럼프 대통령을 겨냥한 풍자라 할 수 있다.
이후 13일에는 네팔 이민자 출신 디자이너 프라발 구룽의 쇼에 참여했으며, 이날의 테마는 동성애와 에이즈를 다룬 유명 연극 ‘미국의 천사들’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비비안은 이어 14일과 15일에도 다른 디자이너들의 패션쇼에 연달아 등장하며 성의 다양성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디자이너 크리스 하바나는 “이번 쇼는 성이 얼마나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성이 어떻게 예술로 승화될 수 있는지를 도전적으로 담아내고 싶었다”고 밝혔다.
올해 뉴욕패션위크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도 작년과 같은 강력한 정치적 메시지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비비안의 캐스팅은 그 자체로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추진해온 다양성 정책의 폐지와 트랜스젠더 권리 제한 조치를 비판하는 행위로 여겨진다.
비비안은 NBC와의 인터뷰에서 “쇼가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을 때 정말 좋다”며, “그것이 강력한 선언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그녀는 일론 머스크와의 관계를 2022년 공식적으로 단절하고 성전환을 선언한 뒤, “생물학적 아버지와는 어떤 연결도 원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며 화제를 모았다.
비비안의 이번 패션쇼 데뷔는 단순한 무대에 그치지 않고, 트랜스젠더 권리와 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