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는 사용자가 보유한 USD코인(USDC)에 대해 탈중앙화금융(DeFi) 기반의 새로운 예치 상품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코인베이스와 DeFi 간의 큰 통합을 알리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외부 지갑이나 제3자 DeFi 플랫폼 없이도 코인베이스 앱에서 직접 USDC를 대출하고 이자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코인베이스는 4일 공식 발표를 통해 머포(Morpho) 렌딩 프로토콜과 통합된 새로운 예치 수익 시스템을 선보였다. 이 시스템은 Steakhouse Financial의 큐레이션을 통해 운영되는 전용 금고(vault)를 통해 자산을 관리하며, 동시에 수익성과 보안성을 고려한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 코인베이스는 USDC 보유자들에게 연 4.5% 수준의 이자를 지급해왔으나, 이번 DeFi 통합을 통해 사용자는 체인 상(On-chain) 유동성 풀을 활용해 최대 10.8%의 연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3일 기준으로 제공되는 수치이며, 변동성이 있으므로 항상 시장 상황에 따라 확인이 필요하다.
코인베이스 대변인은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예치 상품은 현재 머포 프로토콜과만 통합되어 있으며, 대출에는 위험이 따르므로 사용자는 앱 내에서 제공되는 리스크 설명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머포는 현재 탈중앙화 대출 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의 프로토콜 중 하나로 꼽히며, 디파이라마(DefiLlama) 기준으로 총 예치 자산(TVL)이 83억 달러, 약 11조 5,370억 원에 달한다. 이는 온체인 대출 수요의 성장을 반영하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이번 디파이 서비스로 인해 복잡한 사용 경험이 단순화되고,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또한 미국 내에서 가상자산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코인베이스는 적법한 환경 안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DeFi 기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사업 전략을 확장하고 있다.
요컨대, 코인베이스의 새로운 DeFi 기반 예치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며 동시에 중개 없이 직접적인 투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사용자들은 이 획기적인 시스템을 통해 탈중앙화 금융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