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사장 “한미 관세 협상 체결 긴급하다”…25% 관세에 대응 방안 발표

[email protected]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한국산 자동차에 부과된 25%의 관세가 15%로 인하되길 바라며, 한미 간 무역 합의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18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 행사에서 이러한 내용을 발표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했다.

무뇨스 사장은 현재 미국 내 매출 증가 및 현지 생산 비중을 확대함으로써 관세 리스크를 극복할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한미 양국 정부가 속히 합의하길 바란다”며 “올해와 내년 계획을 세우고,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고 싶다”고 말하였다. 올해와 내년의 사업 계획 수립에 강한 의지를 보이며, 현대차의 CEO 인베스터 데이는 해외에서 개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4월부터 미국은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양국 간 합의로 15%로 경감된 반면, 한국은 지난 7월 말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했으나, 후속 협상에서 여전히 이견이 존재해 25%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경우, 과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0%였다.

무뇨스 사장은 올해 영업이익률 목표를 하향 조정하게 된 이유에 대해 “이번 제공된 실적 전망은 25%의 관세율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며, “관세가 15%로 하락했다면 기존에 제시한 전망치를 달성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이날 행사에서 관세 영향을 반영해 올해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치를 기존 7.0∼8.0%에서 6.0∼7.0%로 1.0%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그러나 연결 매출 성장률 목표는 연초 제시한 3.0∼4.0%에서 5.0∼6.0%로 상향 조정했다. 현대차는 매출 확대를 통해 이익 감소를 최대한 보완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무뇨스 사장은 “우리의 사업 운영의 초점은 언제나 고객과 주주에 있다”며, “매출 확대, 상품 믹스 개선, 순매출 증가를 통해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미국 내 생산 비율을 현재 약 40%에서 2030년까지 80%로 높일 계획도 밝혔다. 그는 “관세와 무관하게 현대차는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현지화를 이뤄왔다”며,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은 미국에서 생산해야 한다는 점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한국 내 생산 감소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는 “생산 이전이 아니라 미국 시장의 성장으로 봐야 한다”며, “한국에서의 생산을 미국으로 옮기는 것으로는 해석하지 말라”고 명확히 했다. 관세로 인한 차량 가격 인상 계획과 관련해서는 “고객 중심의 정책을 지키고 있으므로 현재까지는 가격을 올리지 않았다”며, “매출 증가의 기회를 포착하고 판매 금융을 개선하는 동시에 신차 출시와 물류 비용 등 앞으로의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