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에서 정부가 제안한 긴축재정 예산안에 대한 반발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프랑스 전역에서 약 100만명이 시위에 참가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시위는 광범위한 불만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시위 참여자들은 국민 생활이 힘들어지고 공공서비스의 축소로 인해 사회 안전망이 약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파리의 시위에서는 “부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라”는 메시지를 담은 플래카드가 눈에 띄었다. 은퇴한 공무원 피에르 쿠루아는 공공서비스를 삭감한다고 해서 재정 적자가 해결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IT 분야 종사자 시리엘은 마크롱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며, 정부가 좀 더 좌파적으로 변화해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프랑스 내무부의 발표에 따르면, 이날 시위에 참여한 인원은 50만6000명을 넘었고, 파리에서만 5만5000명이 모여 시위를 벌였다. 강성 노조인 노동총동맹(CGT)은 전체 참여 인원이 100만명 이상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10일 시위의 약 20만명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긴축재정안에 대한 반발은 이미 10일 ‘국가 마비’ 시민운동에서 드러났고, 이번에는 더 많은 시민이 거리로 나오게 되었다.
교통 혼잡도 시위로 인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파리교통공사(RATP)의 4개 노조는 파업을 선언하며 지하철 3개 노선만 정상적으로 운영되었고, 프랑스 철도공사(SNCF)는 고속열차의 90%가 운행 중이지만 지역 내 열차는 약 60%만 운행되고 있다. 공공 서비스부의 보고에 따르면, 공무원 약 10%가 파업에 참여했으며, 초등학교 교사 3분의 1이 퇴근하고 약국의 98%도 문을 닫았다.
프랑스 정부는 질서 유지를 위해 8만명의 경찰을 배치하고, 경찰 드론과 장갑차도 투입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최루탄 사용과 함께 경찰과 시위대 간의 작은 폭력 사태가 발생했으나 전체적으로 시위는 평화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전국에서 309명 이상이 체포되었으며, 134명은 구금되었다.
이번 시위는 공공 부채 감축을 위해 정부가 발표한 비용 삭감안과 긴축재정 정책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바이루 전 총리가 제안한 공휴일 폐지와 정부 지출 동결을 두고 제기된 불만은 여전히 남아있다. 지난해 프랑스의 재정 적자는 GDP의 5.8%에 달해 EU의 적자 상한선인 3%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로 나타났다. 새로 취임한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총리는 공휴일 폐지안 철회 및 여야와의 대화가 필수적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으며, 이 상황은 마크롱 대통령과 정부에 대한 압박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