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닛산과 미쓰비시, 2027년 자율주행 서비스 개시 예고

[email protected]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 닛산자동차가 미쓰비시상사와 협력하여 2027년 4월부터 2028년 3월까지 자율주행 서비스 사업을 시작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1일 보도했다. 닛산은 2027년도에 두 개 이상의 도시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수십 대를 운행할 계획이며, 2029년에는 그 규모를 100대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 자율주행 자동차는 일본 정부의 분류 기준에 따르면 ‘완전 자율주행’의 아래 단계로, 특정 조건 하에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없는 상태로 운행되면서 원격 관리를 받게 된다. 이런 자율주행 차량들은 특히 운전기사 부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 자치단체와 교통 사업자들에게 활용될 예정이다.

닛산은 미쓰비시상사의 영업망을 이용하여 이러한 자율주행 서비스를 홍보하고 판매할 계획이다. 이 사업의 운영은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닛산과 미쓰비시상사가 지난 3월에 공동 설립한 ‘모플러스’라는 회사가 맡게 된다. 모플러스는 자율주행 서비스에 주로 닛산의 자동차를 활용할 예정이지만, 고객의 요청에 따라 타사의 차량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닛산은 오는 11월부터 소프트뱅크의 자회사와 협력하여 요코하마시에서 최대 20대의 자동차를 활용한 자율주행 실증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일본 내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과 실용화에 기여하고, 시장 경쟁력을 제고할 기대를 모으고 있다.

닛케이는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에서 미국과 중국이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일본에서도 이러한 자율주행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노력과 움직임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의 자동차 산업이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상용화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자율주행 서비스는 그 중요한 단초가 될 전망이다.

결론적으로, 닛산과 미쓰비시의 2027년 자율주행 서비스 시작은 일본의 교통 시스템 혁신과 함께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교통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며, 특히 운전기사 부족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