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9월에 세 번째 연속 상승 마감에 가까워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대개 다음 달인 10월의 두 자릿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어 시장에서는 ‘업토버(Uptober)’ 현상이 다시 나타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올해 9월 비트코인은 약 8% 상승하며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과거 통계를 살펴보면, 상승세로 마감한 9월 이후 10월에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한 경우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2024년에는 9월에 7.29% 상승한 이후 10월에 10.76% 증가했고, 2023년에는 9월의 3.91% 상승 후 10월에 28.52% 급등했다. 이러한 반복적인 패턴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자기실현적 기대심리를 불러일으키며 매수세를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올해 4월의 반감기 이벤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 당시 채굴 보상이 50% 감소하면서 공급이 줄어들었고, 역사적으로 반감기 이후 1년 동안 더욱 강한 상승장이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2016년 반감기 이후 2017년에는 비트코인이 수백 달러에서 약 2만 달러로 급등했으며, 2020년 반감기 이후에도 유사한 패턴이 확인됐다. 2021년에는 최고 6만 9,000달러에 도달했다.
이번 상승세의 배경에는 거시경제 변화와 제도권의 수용 확대라는 구조적 흐름이 자리잡고 있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하면서 위험 자산에 대한 매수세가 두드러지게 늘어났다. 이러한 정책 변화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11만 8,000달러(약 1억 6,442만 원)까지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치적인 측면에서도 비트코인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행정부는 올해 3월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기구’를 설립하며 친(親) 암호화폐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변화는 제도권 투자 확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비트코인 현물 ETF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국 내 비트코인 현물 ETF들은 7월 이후 최대 규모의 자금 유입을 경험했다. 9월 상반기만 해도 수억 달러에 달하는 순유입이 발생했으며, 미국에 상장된 ETF들이 보유하고 있는 비트코인의 양은 현재 130만 개를 넘어섰다. 이는 채굴로 공급되는 비트코인 이상의 수요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수급 불균형, 제도권 편입 가속화, 친암호화폐 정책, 그리고 역사적인 반감기 사이클 등 다양한 요인이 상호작용하며 시장은 10월의 ‘업토버 랠리’ 재현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최근의 트렌드와 거시적 배경을 고려할 때, 비트코인이 역사적 흐름을 다시 한번 되풀이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