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바이오메딕스(대표 최종문)는 오는 10월 6일부터 8일까지 미국 애리조나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세포·유전자 상업화 학회인 ‘Cell & Gene Meeting on the MESA 2025’에 공식 초청되어,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TED-A9’의 임상 1/2a상 1년 중간 결과를 발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에스바이오메딕스가 연속으로 이 학회에 참가하게 되는 것으로, 신약 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Cell & Gene Meeting on the MESA’는 미국 재생의학연합(ARM, Alliance for Regenerative Medicine) 주최로 열리는 글로벌 콘퍼런스로, 세계 각국의 기업, 연구기관 및 투자자들이 최신 세포 및 유전자 치료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중요한 자리이다. 이 학회는 우수한 연구자와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의 상용화 전략을 논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에스바이오메딕스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TED-A9’는 동종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활용하여, 파킨슨병으로 손상된 도파민 신경세포를 대체하는 혁신적 세포치료제이다. 기존의 도파민 보충 요법이나 약물 치료가 단순히 증상 완화에 그친 반면, ‘TED-A9’는 신경세포 자체를 근본적으로 회복시키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1천만 명 이상이 파킨슨병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그 수는 더욱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승인된 치료제들은 대부분 증상 조절에만 국한되어 있어, 질병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TED-A9’는 뇌 내 손상된 도파민 세포를 대체함으로써 질환의 근본적 개선을 목표로 하여 의료계 및 업계의 큰 감사를 받고 있다.
지난 4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공개된 임상 연구 결과는 ‘TED-A9’의 효과성을 뒷받침하며, 안전성 측면에서도 이식세포 관련 심각한 이상반응이 없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유효성 측정에서도 Hoehn & Yahr 척도, MDS-UPDRS, NMSS 등 다양한 임상 지표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관찰되어, 이 치료제가 임상적 중요성을 가질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지난 6월 홍콩에서 개최된 ISSCR 회의에서는 도파민 세포 이식 후 환자의 행동개선과 뇌 도파민 영상학적 데이터 간 유의미한 연관성이 밝혀져, 파킨슨병 치료 패러다임 전환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임상 증거로 평가받고 있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이번 MESA 학회에서 임상 중간 결과를 상세히 공유할 계획이며, 글로벌 파트너십 미팅을 통해 ‘TED-A9’의 세계시장 진출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미국 FDA와의 Pre-IND 미팅을 시작으로 미국 내 임상 진입 및 다국적 임상 확대를 추진할 명확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러한 단계는 ‘TED-A9’의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에스바이오메딕스는 ‘TED-A9’ 외에도 중증하지허혈 치료제 및 기타 신약들에 대한 협력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에스바이오메딕스의 관계자는 “‘TED-A9’는 파킨슨병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세포치료제”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업계에서 ‘TED-A9’의 가치와 차별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키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향후 예정된 글로벌 학회 및 FDA 관련 미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