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과 ETF의 미래, 비트와이즈와 서클이 강조하는 성장 가능성

[email protected]



9월 22일 서울 용산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이스트포인트:서울 2025’ 콘퍼런스에서 스테이블코인과 ETF가 디지털 자산 시장의 미래를 어떻게 이끌어 갈지에 대한 패널토론이 진행됐다. 이번 논의는 김백겸 해시드 제너럴 파트너의 진행으로 이루어졌으며, 얌키 찬 서클 아태 지역 부대표, 홍 킴 비트와이즈 공동 창립자·CTO, 아데 아데포주 리알로 공동 창립자·CEO가 패널로 참여했다.

비트와이즈의 홍 킴 공동 창립자는 ETF의 승인이 암호화폐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으로 가는 큰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2017년부터 암호화폐 ‘인덱스 펀드’를 제공하며 개인 계좌를 통한 투자 경로를 열어주었지만, SEC의 승인까지는 6년이 필요했다고 전했다. 현재 비트와이즈는 30개의 ETF를 운영 중이며, 운용자산액(AUM)은 초기 10억 달러에서 현재 150억 달러로 증가했다. 그는 “지난 2년 동안의 경험은 규제를 통해 투자자 보호가 강화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했다”며 ETF 승인 이후 약 500억 달러가 시장으로 유입되었고, 그 결과 가격은 두 배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패널은 과거의 강세장에서처럼 자금이 유입되면 자주 나타나는 다양한 플레이어의 등장과 시장 파편화 문제를 언급하며, ETF 승인이 안정된 시스템 내에서의 대규모 자금 흐름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홍 킴은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위험도 커지지만, 규제를 받는 시스템 내에서 이뤄지는 활동은 오히려 질서 있는 성장을 이끌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내년 ETF 시장의 전망에 대해서는 비트코인 ETF에 약 1000억 달러가 들어오고 있어, 내년 말에는 이 규모가 2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서클의 얌키 찬 아태 지역 부대표는 USDC가 750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기록한 것에 대해, 장기적인 비즈니스 구축은 시간이 걸리며 준법이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서클은 미국과 유럽, 아시아 각국에서 규제 당국과 협력하여 신뢰와 안전성을 설명해왔다”며 이런 노력 덕분에 오랜 시간에 걸쳐 신뢰를 구축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기관 투자자들이 체인으로 들어오는 모습이 보이는데, 특히 지니어스법 통과는 기업이 새로운 수익 모델을 고민하고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얌키 찬 부대표는 리스크와 혁신이 배타적인 개념으로 보이지 않도록 해야 하며, 혁신이 오히려 리스크를 줄이고 금융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미래 전망치에 대한 질문에 그는 “현재 모든 스테이블코인을 합친 규모가 약 2800억 달러에 이르며 미국 달러의 M2 통화공급량이 조 단위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스테이블코인의 성장 여지는 여전히 크다”며 한국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의 향후 발전 가능성을 확신했다.

‘이스트포인트:서울 2025’는 프라이빗 웹3 콘퍼런스로, 각종 금융기관 및 글로벌 규제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여 디지털 자산과 글로벌 금융의 접점을 모색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