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의 라이칭더 총통이 취임한 이후 1년여가 지난 시점에서, 대만인 10명 중 6명이 그의 강경한 대중국 정책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대만 연합보에 따르면, 지난해 43%였던 불만 인식이 올해 63%로 급증했으며, 좋은 평가를 하고 있는 응답자는 44%에서 26%로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20세 이상의 대만 성인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전화 설문조사로, 기간은 10일부터 15일까지였다.
라이 총통은 지난해 5월 취임사에서 대만과 중국 간 현상 유지의 필요성을 언급했으나, “중화민국(대만)과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서로 예속되지 않는다”고 강하게 주장하며 독립 성향을 내세웠다. 이러한 발언은 대만 내 중국에 대한 압박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며, 라이 총통은 3월에 중국이 대만 사회에 침투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강경 보안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대한 대만인들의 반응에서 63%는 라이 총통의 발언이 양안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긍정적 영향을 주리라는 응답자는 18%에 불과했다.
또한, 대만과 중국 간의 경제 무역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지난해 41%에서 올해 46%로 증가했으며, 줄여야 한다는 의견은 19%에서 13%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대만 내 ‘현상 유지’ 의견도 최근 4년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대만인들의 미국에 대한 신뢰도는 noticeably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과 중국 간 군사 충돌이 발생할 경우, 미국이 대만을 방어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지난해 49%에서 41%로 감소했고, 반대로 파병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42%에서 49%로 상승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만에 방위비 지불을 요구한 것에는 71%가 반대 의사를 표명했으며, 라이 총통이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국방비를 인상할 계획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46%가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대만인 대다수는 미국과 중국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서는 안 된다고 응답했으며, 이러한 의견은 민주진보당의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높았고, 이는 정치적 중립의 필요성을 반영한다. 야권 지지층과 무당파 간에도 균형 유지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대만인들은 양안 관계의 안정성 및 중국과의 경제 협력 강화를 바라는 것이 명확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