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BC의 유명 진행자 짐 크레이머가 암호화폐 시장의 최근 급등세를 두고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금, 비수익 기업 주식 등의 투기 자산이 무한대로 상승하는 것에는 부정적”이라고 강조하며 이 같은 발언으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다. 현재 비트코인(BTC)뿐만 아니라 미국 증시와 금 가격 모두가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크레이머는 이와 같은 상승세가 지나치며 거품의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였다.
그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시장 참여자들의 반응은 상반된 모습이었다. 한 투자자는 크레이머의 트윗을 “9월의 가장 강력한 상승 신호”로 해석했으며, 또 다른 사용자는 “비트코인은 더 오를 것 같다. 고맙다, 크레이머!”라는 조롱 섞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반응은 크레이머가 과거에도 여러 번 시장 예측에서 일관되지 못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는 2008년 금융위기 직전, 투자자들에게 베어스턴스를 매수하라고 조언했으나 그 이후 해당 기업은 파산하였고, 이 사건은 그가 ‘역행지표(Inverse Indicator)’로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발언에 대한 조롱은 단순히 그의 예측 오류 때문만은 아니다. CNBC의 높은 영향력 때문에 크레이머는 여전히 많은 투자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는 대중의 평가를 더욱 양극화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크레이머의 발언은 단순한 의견을 넘어 투자자들에게 하나의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번과 같이 하락을 경고하는 주장을 오히려 상승 신호로 해석하는 경향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 시장이 지니고 있는 심리적 요소가 가격 형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중요한 시사를 제공한다. 크레이머의 발언이 시장에 미친 영향을 통해 우리는 투자 심리가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장의 기류와 투자자들의 반응은 앞으로의 암호화폐 투자의 방향성을 굳건히 예고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