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청산 사태가 암호화폐 시장을 강타했다. 하루 새 약 17억 달러(한화 약 2조 3,630억 원)어치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되었고, 이로 인해 39만 명 이상의 투자자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이번 폭락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청산 피해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은 이더리움으로, 무려 5억 160만 달러(약 6,923억 원)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비트코인이 2억 8,701만 달러(약 3,981억 원), 솔라나(SOL)가 9,592만 달러(약 1,334억 원), XRP가 7,796만 달러(약 1,082억 원), 도지코인(DOGE)이 6,132만 달러(약 852억 원)의 청산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전체 알트코인에서의 청산 규모는 약 2억 5,756만 달러(약 3,584억 원)에 이르렀다.
특히 OKX 거래소에서는 BTC-USDT 스왑 포지션이 1,274만 달러(약 177억 원)까지 청산되는 사례가 발생하여 시장의 혼란을 더욱 가중시켰다. 청산 과정에서의 손실 불균형이 두드러지는데, 전체 16억 달러(약 2조 2,240억 원)의 손실 중 95% 이상이 매수 포지션에서 발생한 반면, 숏 포지션의 손실은 겨우 8,590만 달러(약 1,194억 원)에 불과했다.
이번 급락의 배경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더리움은 하루 동안 10% 가까이 하락하며 투자 심리의 위축을 초래한 반면, 안전 자산으로 여겨지는 금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여 투자자들의 불안을 증폭시켰다. 또한 거래소 Bybit에 대한 해킹 소문이 돌았으나, Bybit 측은 이를 부인하며 모든 자산과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번 청산 사태는 상승 기대가 있는 ‘업토버(Uptober)’라는 시즌을 앞두고 발생해, 시장의 반등 또는 추가 폭락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역대 통계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10월 평균 15% 상승을 기록한 반면, 이더리움은 2020년에 58.7%, 2021년에 42.8%의 상승률을 기록한 전례가 있다.
바이낸스의 창립자인 창펑 자오(CZ)는 “이번 폭락은 새로운 지지선을 형성하며 시장 조정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며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번 청산 사태가 건전한 상승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함께 내놓았다. 단기적으로는 투자자들에게 충격을 주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이 더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이번 일은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며, 투자자들에게 신중함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