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이 약 1800억 달러(약 250조 2,000억 원) 규모의 XRP를 활용해 탈중앙화 금융(DeFi)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DeFi 로드맵에 따르면, 리플은 XRP 레저(XRPL)를 글로벌 기관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산 레이어로 강화할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XRP의 기존 결제 기능을 넘어 기관 특화 DeFi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부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 글로벌 탈중앙화 금융 생태계는 약 1618억 달러(약 224조 5,000억 원)가 프로토콜에 예치되어 있으며, 스테이블코인 발행량은 약 2928억 달러(약 406조 9,000억 원), 분산형 거래소(DEX)에서의 일일 거래량은 156억 달러(약 21조 6,800억 원), 그리고 파생상품의 일일 거래량은 230억 달러(약 31조 9,700억 원)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 속에서 리플은 XRP의 활용도를 강화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리플의 XRPL은 이번 로드맵을 통해 규제 준수 상태를 온체인에서 증명할 수 있는 기능과 자산 동결 제어, 시뮬레이션 도구 등을 추가하여 규제 기관의 우려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XRPL은 현재 실물 자산 기반 체인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에 속하며, 탈중앙화 자산의 가치 기준으로 약 156억 달러(약 21조 7,000억 원)가 구축되어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3.0 버전에서 도입될 프로토콜 레벨의 대출 시스템이다. 네이티브 KYC/AML 기준에 의거한 유동성 풀을 활용한 대출 시스템은 기관에 저비용 신용 공급과 직접적인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또한, 오는 10월에는 다목적 토큰(Multi-Purpose Token) 표준이 적용되어 채권 및 구조화 금융 상품을 XRPL에서 직접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게 된다.
리플은 이러한 기능들을 단순한 실험이 아닌, 규제가 통제하는 ‘합법적 자금’을 암호화폐 시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보고 있다. 특히 XRP가 담보 자산이자 결제 수단이라는 이중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는 점은 재정적 안정성을 요구하는 기관 고객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다.
더불어 리플은 거래 당사자 간의 자산 세부 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감사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제로 지식 증명’ 기반의 프라이버시 기능 개발에도 착수하였다. 이는 기관 고객의 정보 보안과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최근 ETF 시장에 하루 만에 2억 7,000만 달러(약 3,753억 원)의 대규모 자금이 유입된 상황에서, 리플의 이번 로드맵은 XRP가 단순한 생존을 넘어 디지털 금융의 중심 자산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확고한 의지를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