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선물 거래서 하루 만에 7,043억 원 청산…롱 포지션 95% 피해

[email protected]



최근 이더리움(ETH) 선물 시장에서 급격한 청산 사태가 발생했다. 하루 동안 이더리움 선물 포지션에서 약 5억 700만 달러, 즉 7,043억 원이 청산됐으며, 이러한 청산 중 95%는 롱 포지션에서 발생한 것이다. 특히 이번 청산 사건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거래소는 바이빗으로, 전체 청산의 52%를 차지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번 대규모 청산은 변동성 없이 이뤄진 점에서 이례적이다. 이더리움 가격은 하루 새 6.5% 하락하여 4,150달러, 즉 약 577만 원까지 떨어졌고, 솔라나(SOL) 또한 7.2% 하락하여 220달러, 약 306,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두 가지 암호화폐 모두 일시적인 급락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동시에 이더리움 선물 시장의 미결제약정(Open Interest)도 크게 감소하고 있다. 코이널라이즈(Coinalyze)의 데이터에 따르면, 하루 만에 미결제약정은 30억 달러, 즉 약 4조 1,700억 원이 증발하며 27억 달러, 즉 3조 7,530억 원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전체 포지션의 약 10% 이상이 청산된 것이며, 그 중 절반 정도가 이번 청산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이더리움 미결제약정의 절대 다수는 무기한 계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만기형 선물 계약은 9억 610만 달러, 즉 약 1조 2,585억 원에 그쳐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더리움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공동 창립자인 비탈릭 부테린은 투기를 중심으로 한 서브컬처에서 벗어나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디지털 검색의 대중화를 이끌었던 구글과 유사하게 이더리움의 대중화에도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청산 사태는 이더리움 시장의 구조적 취약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향후 사용자 기반 확대를 위해서는 신뢰성과 예측 가능성을 중시한 전략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다시금 일깨워주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기존 투자자뿐만 아니라 신규 사용자 유입을 위한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이 절실하다는 점을 경고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포괄적인 투자자 신뢰를 회복하고, 장기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데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처럼 급변하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안정성 및 예측 가능성 중심의 디파이(DeFi) 솔루션이 대두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