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마이런, 2%포인트 금리 인하 주장…경기 둔화 우려

[email protected]



스티븐 마이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는 기준금리를 2%포인트 인하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트럼프 경제 책사’로 알려진 그는 취임 일주일 만에 뉴욕 이코노믹 클럽에서 개최된 첫 공개 연설에서 이러한 파격적인 의견을 발표하며 경제 정책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마이런 이사는 경제 정책이 현재 제약적인 수준에 도달했다고 강조하며, 단기금리가 적정 수준보다 약 2%포인트가 지나치게 높은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불필요한 해고와 실업률 상승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관세, 이민 제한, 세금 정책이 중립금리를 낮추는 원인이 되었다며,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금리를 더 낮출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중립금리는 경제의 과열이나 침체를 유발하지 않는 이론적 적정 금리를 의미한다.

마이런 이사는 “Fed는 미국 가계와 기업의 이익을 위해 물가 안정을 촉진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인플레이션 목표를 2%로 되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지나치게 긴축적인 정책 유지가 Fed의 고용 의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불과 몇 일 전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아드리아나 쿠글러의 후임으로 지명되어 Fed에 합류했으며,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고문 역할을 수행해온 경력을 지니고 있다. 마이런 이사는 최근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도 강력한 금리 인하를 지지하며, Fed가 이전에 0.25%포인트 금리를 인하했을 때 유일하게 반대 의견을 제출하며 0.5%포인트 인하를 요구했다. 그는 현재의 금리 전망에 대해 다른 위원들이 0.5%포인트를 추가로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 것과는 달리, 자신은 무려 1.25%포인트의 인하를 전망했다.

그는 향후에도 대규모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할 것이라는 뜻을 분명히 하였으며, 자신의 견해가 바뀌지 않는 한 그 주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합의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단순히 합의라는 환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내가 믿지 않는 것에 투표하지는 않겠다”며 소신 있는 발언을 남겼다.

마이런 이사의 현재 임기는 쿠글러 전 이사의 잔여 임기로 내년 1월까지 예정되어 있으며, 이후 새로운 이사로 임명될 가능성은 미정이다. 만약 임기를 단지 채우는 것에 그친다면, 그는 현재 휴직 중인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 자리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민주당 측은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을 받는 인사가 Fed에 임명되면서 Fed의 독립성이 훼손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