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 디지털자산 정책 관계자들은 현재의 정책 방향에 확신을 표명하며, 암호화폐 산업이 미국에서 뿌리내릴 수 있다면 다시는 후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9월 23일 서울에서 개최된 ‘KBW2025: IMPACT’ 행사 내 패널토론에서 이루어진 발언으로, 백악관 디지털자산위원회의 해리 정 부의장과 패트릭 위트 전무이사가 영상으로 참여해 논의를 이어갔다.
패트릭 위트 전무이사는 최근 진행된 지니어스법과 클래리티법의 하원 통과 등을 강조하며, 트럼프 대통령 하에서 많은 진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재무부가 이와 관련하여 방대한 시행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일관성과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입법 작업 덕분에 많은 기업들이 미국 내 사업 계획을 세우고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움직임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상원으로 넘어간 클래리티 법안에 대해 위트 전무이사는 “매일 상원의원 및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 로비 단체와 회의 중”이라고 전하며, 법안의 복잡성과 다면성에도 불구하고 추진 가능성에 대해 점점 자신감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해리 정 부의장 또한 “대통령은 가능한 한 빨리 해당 법안에 서명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상원 지도부와 협력하고 있다”며 법안 통과를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백악관 관계자들은 미국이 비즈니스에 열려 있음을 강조하며, 해외로 떠났던 기업들이 돌아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SEC 등 규제 당국은 입법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이미 가이드라인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크립토 기업들이 미국으로 돌아오는 데 적절한 시기”라며 정부가 언제든지 업계와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렸다. 이와 함께 기업의 성공이 미국 경제와 국민, 그리고 전 세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확신도 전했다.
미국이 혁신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투명한 규제 프레임워크가 절실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미국은 단순한 “크립토의 수도”에 그치지 않고, 100년 동안 “혁신의 수도”로 자리 잡기를 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통령 임기 내 입법과 규제 과제를 마무리하고,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전략적 준비금을 정착시키고 확대하는 등의 노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권 교체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정책 변화에 대해 “백악관은 여러 부처와 조율하고 긴밀히 협력하는 ‘원팀’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며, 이번 기회에 산업이 미국에서 뿌리내린다면 절대 후퇴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또한 과거의 잘못을 만회해야 할 결정적인 시점이며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5: IMPACT’는 9월 23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에서 개최되어 글로벌 규제 기관, 블록체인 기업 및 금융사와 투자자들이 디지털 자산과 금융, 기술 산업의 주요 의제를 다룰 예정이다. 올해 행사에서는 ‘워싱턴과 서울의 만남, 그리고 가상자산과 AI의 융합’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세션이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