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13일 만에 최저치 기록… “매수 기회” vs “추가 하락 경고”

[email protected]



최근 비트코인(BTC)가 13일 만에 최저치인 11만 2,200달러(약 1억 5,597만 원)로 급락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지금이 매수 기회”라는 의견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이는 8월 13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 12만 3,800달러(약 1억 7,178만 원)에서 약 8% 하락한 수치로, 시장의 반응이 다양하게 얽히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여러 시장 분석가들은 지나친 낙관론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내며 추가 하락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온체인 분석기업 샌티멘트(Santiment)는 역사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중의 과도한 낙관론이 오히려 하락의 신호가 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시장이 진정한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선 투자자들이 희망을 포기하고 손실을 감수하며 매도하는 ‘공포의 순간’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최근 바이낸스에서 공매도 포지션이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가격 하락 이후 매수 전환이 미약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악재가 다소 누적된 후 비트코인이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 이하로 떨어지자, 낙관론은 빠르게 약화됐다. 샌티멘트는 이번 하락이 과거의 극심한 공포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4월 미국 대중 무역 관세 이슈나 6월 중동 지정학적 위기 당시의 패닉 수준과는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분석가들은 ‘스트리트에 피가 흐를 때가 매수 시점(Buy when there’s blood on the streets)’이라는 격언을 인용하며, 극도의 공포가 있어야 비로소 진정한 반등 신호가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주요 온체인 지표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의 30일 기준 MVRV(Market Value to Realized Value) 비율이 9월 10일 이후 처음으로 음수 영역에 진입했으며, 이는 최근 매수자들이 손실을 경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신규 투자자들에게 보다 유리한 매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고래 투자자들이 최근 8월 27일 이후 10~1만 BTC를 보유한 지갑에서 총 5만 6,372BTC를 추가 매수한 사실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대형 홀더들의 매수는 향후 가격 하단 방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신호로 보는 것이다. 거래소에 예치된 비트코인 수량 또한 최근 4주 동안 3만 1,265BTC가 감소하여 매도 압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결국 샌티멘트는 이번 조정을 크립토 시장의 전형적인 ‘중간 급락’으로 평가하면서도 과거의 15%~20%에 해당하는 본격적인 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비트코인에 대한 소매 투자자들의 ‘디핑 매수’ 열기는 오히려 경고 신호로 해석되며, 진정한 반등은 더 깊은 조정이 진행된 후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이고 있다. 따라서 현재 비트코인 시장은 혼란 속에서도 긴장된 전환기를 맞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상황을 투명한 시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