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 투자로 세운 암호화폐, 결국 붕괴된다

[email protected]



비트코인의 하루 2.5% 하락으로 18억 달러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었고, 37만 명 이상의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았다. 이더리움에서도 5억 달러 이상의 포지션이 사라졌으며, 비트코인 청산액 또한 약 3억 달러에 이르렀다. 시가총액은 하루에만 1,500억 달러가 증발하며 비트코인은 11만 2,000달러 이하로 떨어졌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니며, 시장의 얇은 유동성과 과열된 레버리지의 부작용이 동시에 발생한 ‘퍼펙트 스톰’을 가져왔다. 호가 간격은 넓어졌고, 유동성 공급자들은 시장에서 발을 뺐다. 이러한 현상은 시장 구조의 취약성과 그 위험성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명확히 드러낸다.

문제는 우리가 확인하고 있는 수치가 전부가 아니라는 점이다. 코인글래스 지표에는 중앙화거래소(CeFi) 내부의 마진콜, 장외 레포 unwind, 디파이 레버리지 청산 등이 포함되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이번 청산 규모가 실제로는 25억~30억 달러에 달했을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2.5%의 조정으로 이 정도라면, 10% 급락이나 거시경제적 충격이 발생했을 때 시장이 어떻게 버틸지 상상하기조차 두렵다.

연방준비제도가 지난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하여 4~4.25%로 낮추었지만, 이러한 완화 정책조차 시장을 안정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파산한 FTX가 9월 30일 16억 달러의 3차 배분을 밝힌 사실도 투자자들에게 심리적 압박을 가중시켰다. 레버리지로 얽힌 구조는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함을 여실히 보여준다.

한편, 동기간에 서울에서는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KBW)가 개최되었다. 본지는 현장에서 취재와 패널 좌장을 맡으며 뜨거운 열기를 체감했다. 행사장은 사람들로 가득 찼고, 긴 줄이 끝없이 이어졌다. 그러나 시장은 정반대의 상황을 보여주었다. 대규모 청산으로 수십만 명의 투자자들이 계좌를 잃었고, 최근 해킹과 대규모 토큰 발행으로 70% 가까이 폭락한 특정 토큰이 행사장 메인 스폰서로 자리잡은 아이러니가 발생했다. 화려한 부스와 열기에 가려진 것은 결국 구조적 불안이었다.

이번 ‘레버리지 피바다’ 사건은 암호화폐 시장의 본질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거래소는 마진 거래를 촉진하며, 프로젝트들은 담보를 반복적으로 활용해 대출을 발생시킨다. 투자자들은 레버리지를 쌓아가고, 이는 작은 변동에도 시장이 붕괴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든다. “다음 황소장만 기다리면 된다”는 안일한 자기 위안에 불과할 뿐이다. 현재의 위기와 레버리지 청산의 현실을 동시에 바라보아야 한다.

이번 사태는 묻는다. 당신은 청산 이후 어떤 대응 전략을 세웠는가? 위험을 줄이고 생존할 것인가, 아님 다시 레버리지의 유혹에 끌릴 것인가? 시장은 선택하지 않는 자에겐 언제든지 냉혹하게 반응할 것이다. 키워드: crypto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