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홀딩스가 최대 2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를 위해 초기 협상에 들어갔다. 이번 협상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테더의 기업가치는 약 5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인공지능 분야의 오픈AI 및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유사한 수준이다.
투자 유치는 신규 발행된 약 3% 지분을 사모 방식으로 외부 투자자에게 매각하는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며, 이 과정에서 확보되는 투자금액은 최소 150억 달러에서 최대 200억 달러로 예상된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뉴욕에 본사를 둔 투자회사인 캔터 피츠제럴드가 주간사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협상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있으며, 일부 소식통에 따르면 실질적인 투자금 규모는 예상보다 낮아질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전했다.
현재 테더가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의 시가총액은 약 1,720억 달러에 이르며, 이는 2위 업체인 서클의 USD코인(USDC) 시가총액 740억 달러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수치는 테더의 국제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입지를 입증하고 있다. 테더는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의 1달러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 국채 등 현금성 자산에 준비자산을 예치함으로써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테더는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올해 2분기 동안 테더는 49억 달러(약 6조 8천억 원)의 이익을 기록했으며, 파울로 아르도이노 CEO는 테더의 이익률이 무려 99%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고수익 구조는 미국 금리 상승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미국 국채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 덕분에 더욱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테더의 주요 경쟁사인 서클인터넷그룹은 현재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으며, 9월 23일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약 300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테더는 비상장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월등히 높은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는 점에서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투자 유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테더는 암호화폐 산업 내에서 자금 운용 능력과 시장 지배력을 획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재무적으로 탄탄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높은 신뢰도를 쌓고 있으며, 이는 테더의 시장 우위를 더욱 공고히 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