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여성, 어릴 적부터 모은 손톱으로 전통약 판매 화제

[email protected]



중국 허베이성에 거주하는 한 여성이 어린 시절부터 잘라 모은 손톱을 전통 약재로 판매하며 주목받고 있다. 그녀의 손톱은 1㎏당 150위안(약 3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 여성은 그대로 손톱을 버리지 않고 모으는 것이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전통 약재로 활용하기 위해서였다고 밝혔다.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손톱을 ‘진퇴’라고 부르며 치료 성분으로 사용된다. 손톱은 몸의 열과 독성 물질을 제거하고 상처 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적으로 당나라 의사인 손사막의 ‘천금요방’이라는 고서에도 손톱을 이용한 치료법이 수록되어 있다. 이 고서에서는 아이의 손톱을 태워 재로 만든 다음, 엄마의 가슴에 바르고 모유와 섞어 아이가 마시게 하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었다.

1960년대까지 많은 병원에서 손톱이 포함된 처방을 사용했지만, 유사한 효능을 가진 다른 재료들이 등장하면서 손톱의 사용은 점차 줄어들었다. 성인이 1년 동안 자라나는 손톱의 양이 평균 100g에 불과해 손톱을 약재로 이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나 중국에서 2018년에 승인된 특허 약품 ‘후옌완’에 손톱이 포함되면서 다시금 관심을 받고 있다. 후옌완은 목의 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오랜 중의학 처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손톱을 약재로 사용할 때 위생과 출처 문제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일부 현지 누리꾼들은 손톱이 오염물질이 많아 더럽다고 지적하며 “발톱이 섞여 있을지도 모른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와 관련하여 청두중의약대학교의 리지민 교수는 의료 회사들이 손톱을 학교와 마을에서 수집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손톱은 철저히 세척, 살균 후 열처리를 거쳐 분말 형태로 가공되어 약재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한의학에서도 손톱을 약재로 활용한 기록이 존재한다. 동의보감 등 고전 의서에서는 사람 손톱을 갈거나 태워 배앓이나 유아의 이상행동, 백태 제거 및 지혈 등의 목적으로 사용해왔다. 하지만 현재는 위생 및 윤리적 문제로 인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 이러한 손톱의 판매는 현대적인 재조명과 함께 전통 의학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사람들은 융통성 있는 약재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면서도, 그와 같은 전통적인 방법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가 있는지를 고민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는 치유와 건강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가치관과 전통 치료법의 접점을 논의하는 데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