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최근 여러 날 동안 급격한 변동성을 보이며 11만 8,000달러(약 1억 6,402만 원)에서 강력한 저항을 받고 있다. 현재 시장은 중요한 수급 구간에 도달한 상태로, 이 구간에서의 유동성 흐름이 향후 가격 방향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간 차트를 살펴보면, 비트코인은 하락 추세 채널의 상단 경계인 11만 8,000달러에서 반복적으로 상승을 시도했으나 매번 실패하며 가격이 조정 국면에 들어갔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11만 1,000달러(약 1억 5,290만~1억 5,429만 원) 범위에 있는 수요 구역에 간신히 머무르고 있으며, 이 지점에는 100일 이동 평균선도 겹쳐 있어 중장기적인 지지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만약 이 지지선이 무너지면 10만 5,000~10만 7,000달러(약 1억 4,595만~1억 4,883만 원) 구간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4시간 차트에서는 유동성 함정에서의 숏 리퀴데이션이 발생한 이후 단기적인 매도세가 나타났다. 비트코인은 11만 1,500~11만 달러(약 1억 5,469만~1억 5,290만 원)의 수요 블록으로 하락했으며, 이 구역에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가격이 일시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가격 지지가 무너지면 조정폭이 커질 수 있으며, 반대로 성공적인 반등이 이루어지면 11만 5,000달러(약 1억 5,985만 원)의 저항선을 재차 돌파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시장 심리 측면에서 주목할 점은 펀딩비의 변화이다. 지난해 12월, 비트코인이 12만 달러에 근접했을 때 급격히 증가한 레버리지와 펀딩비의 상승이 대규모 롱 포지션 청산을 일으키며 매도세를 촉발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올해 8월의 반등은 비교적 안정적인 펀딩비 속에서 이루어져 큰 충격 없이 건강한 상승 흐름을 유지했다.
최근 들어 펀딩비가 점차 상승하면서 롱 포지션이 다시 증가하고 있으며, 이 시점에서 과열 상태는 아니지만 투자자들의 심리가 서서히 회복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속적인 흐름이 안정적으로 이어진다면,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가격대를 중심으로 비트코인이 다시 한 번 상단 저항에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기대와 우려가 혼재된 상황에서, 앞으로의 시장 유동성 변화와 각종 기술적 지표들을 통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정보들은 투자자들에게 향후 매매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