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기후 정상회의에서 온실가스 배출 7~10% 줄이겠다고 발표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기후 위기를 “사기”로 표현한 다음 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7~10%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발언은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에서 열린 기후 정상회의의 화상 연설을 통해 이루어졌다. 시 주석은 이 계획이 전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의 일환이라며 강조하였다.

중국은 2035년까지 비화석연료 소비가 전체 에너지 소비의 30% 이상을 차지하도록 할 것이며,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설치 용량을 2020년 대비 6배 이상 늘려 총 36억㎾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 주석은 “녹색 및 저탄소로의 전환은 우리 시대의 흐름”이라며, 일부 국가들이 이러한 흐름에 역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발언은 기후 정상회의에 불참한 미국을 간접적으로 언급한 것으로 해석되며, 다수의 전문가들은 시 주석의 의도에 주목하고 있다.

이미지의 양극화 속에서 이러한 중국의 탄소 감축 목표는 트럼프 행정부가 화석연료 사용을 확대하는 최근 상황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에 의하면, 트럼프 행정부는 세계은행에 신규 가스 시추 프로젝트에 대한 재정 지원을 확대하라는 압박을 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유엔총회에서 유엔이 주도해온 기후 변화 대응과 탄소 저감 정책을 “사기극”으로 표현하며 각국 정상들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트럼프는 유럽이 재생에너지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 결과 에너지 가격 상승과 생산 기반의 붕괴를 겪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오히려 더 많은 탄소가 중국과 그 주변국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은 지금까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중국의 2035년 목표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영국의 싱크탱크 E3G의 케이시 브라운 부국장은 “중국이 선언한 목표는 국제사회의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며, 목표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목표가 다자주의와 환경 경제 리더십을 주장하는 중국의 신뢰성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중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과 국제사회 내에서의 위치는 자국의 기후 정책이 국제 기준을 충족해야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앞으로 중국은 목표를 확실하게 달성함으로써 기후 변화 문제에 대한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 맞물려 이 양국 간의 기후 정책 경쟁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