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두나무 인수 본격화…네이버파이낸셜과의 주식교환 협상 진행 중

[email protected]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인수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네이버파이낸셜, 즉 네이버페이와 두나무 간의 포괄적 주식교환이 추진되면서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의 100% 자회사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거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네이버-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로 연결된 수직 계열화가 완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업계의 정보에 따르면 두나무는 곧 주요 주주들에게 주식교환과 관련된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다. 양측은 이미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주식 교환 비율 산정 등 마지막 준비 작업에 돌입한 상태이다. 이번 거래는 네이버파이낸셜이 신주를 발행해 두나무의 주주 지분과 맞바꾸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기존 두나무의 주주들은 네이버파이낸셜의 주주로 전환될 계획이다.

두나무의 주요 주주는 송치형 회장(25.5%), 김형년 부회장(13.1%), 카카오인베스트먼트(10.6%), 우리기술투자(7.2%), 한화투자증권(5.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네이버파이낸셜의 최대주주는 네이버로 약 7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나머지 지분은 미래에셋금융그룹이 소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두나무의 기업가치가 네이버파이낸셜을 초과하므로 상당한 규모의 신주 발행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네이버가 최대주주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교환 비율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인수로 인해 네이버는 간편결제와 가상자산 거래를 아우르는 슈퍼앱 전략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나무의 연간 영업이익이 1조 원을 초과하게 되면 네이버의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이다. 또한 두나무는 이제 지배구조 투명성을 확보하고,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등 미래 금융 인프라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특히 지난 24일 국회가 ‘디지털자산TF’를 출범시키고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법제화를 추진하기로 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에 따라 네이버와 두나무의 전략적 협력은 제도 변화에 맞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네이버페이의 결제 인프라와 업비트의 가상자산 유통망의 결합이 국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수익원으로는 원화 예치금 운용, 담보 대출, 카드 수수료 절감, 그리고 글로벌 확장이 언급되고 있다.

두나무는 또한 최근 업비트 개발자 회의(UDC)에서 자체 블록체인 ‘기와체인(GIWA Chain)’과 ‘기와월렛(GIWA Wallet)’을 발표하면서 스테이블코인 사업의 기반을 강화했다. 오경석 대표는 “스테이블코인은 이전 할 수 없는 흐름”이라며 “결제와 자산 관리가 웹3 기반 서비스로 전환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지배구조 개편을 진행하는 한편 인공지능(AI) 전략에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과거에는 자체 모델 개발에 집중하였으나, 최근에는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업도 활발히 검토하고 있으며, 오는 11월 개최될 개발자회의(DNA 25)에서 구체적인 방향성에 대해 공개할 예정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