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유입과 유출 현상에 대한 분석 결과, 이더리움에서 총 3억530만 달러의 자금이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탈한 자금은 주로 USDT, USDC, 달러, 비트코인, 그리고 원화로 이동되었다. 시장에서는 FDUSD와 한국 원화가 가장 많은 자금을 유입시키며 주목받았다.
25일 크립토미터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FDUSD 자금이 4700만 달러가 유입되었으며 그 중 4440만 달러가 이더리움으로 집중되었다. 또한, 한국 원화는 4430만 달러가 들어왔고, 이 자금은 USDT와 0G 등으로 분산되었다. 이 외에도 미국 달러 기반 자금 3290만 달러가 유입되었으며, 이 중 2920만 달러는 솔라나로 향했다.
터키 리라와 일본 엔화도 암호화폐 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터키 리라로부터는 1050만 달러가 유입되어 대부분 USDT 및 ETHFI 방향으로 이동했으며, 일본 엔화는 전액 비트코인으로 전환된 850만 달러가 거래되었다. 유로화 기반 자본도 양호한 성과를 거두며, 1450만 달러가 BTC, USDC, XRP 등으로 분산되었다.
중간 자산 단계에서는 USDT 자금이 약 7080만 달러가 집결되며, 이는 여러 주요 알트코인으로 분산되었다. USDC 또한 강한 흐름을 보였으며 6790만 달러가 이동하였고, 대다수는 비트코인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은 7100만 달러, 솔라나는 4350만 달러의 자금 유입을 기록하였다.
특히 이더리움의 대규모 자금 유출은 미국 ETF 승인 관련 기대감과 시장의 변동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더리움의 주요 유출 자금은 USDT(1억9330만 달러), USDC(4450만 달러), 달러(2610만 달러), 그리고 비트코인(2080만 달러)이다. 비트코인에서도 7410만 달러가 유출되었고, XRP에서는 5140만 달러의 자금 이탈이 있었다.
최종적으로 이날 암호화폐 시장은 USDT에 총 6억9170만 달러가 유입되는 등, 법정화폐인 달러에도 7500만 달러가 몰리는 등 유동성이 크게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흐름은 향후 암호화폐 시장의 동향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