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고용 안정성 유지…성급한 금리 인하 경계해야”

[email protected]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최근 고용 둔화에 대한 우려가 경기 침체를 암시한다고 과도하게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2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며 곧 사라질 것이라는 가정 아래 금리 인하를 지나치게 미리잡고 느끼는 불안감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중서부 지역 기업들이 여전히 인플레이션 통제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하며 현재 고용 시장은 여전히 안정적이고 견고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4.3%의 낮은 실업률과 노동시장 이직률이 긍정적인 고용 데이터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발표된 노동 통계가 미국 경제의 급격한 둔화를 시사하는 것이 아닌, 단지 완만한 냉각을 나타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17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여 4.00~4.25%로 조정한 후, 9개월 만에 금리를 내린 상황이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인하 배경으로 고용의 하강 위험이 증가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경기 상황을 중립적 방향으로 조정할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굴스비 총재는 조급한 금리 인하가 오히려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일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율은 지난 4년 반 동안 연준의 목표인 2%를 초과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으로의 경제 전망에 대해 그는 신중함을 강조하며, 금리 조정 결정이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reiterated했다.

결론적으로, 굴스비 총재는 현재 고용 시장이 안정적인 상황에서 성급한 금리 인하가 경제 안정성을 해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더욱 면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