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네트워크, 서비스 일시 중단 발표…토큰 언락 앞두고 가격 5% 하락

[email protected]



파이네트워크(Pi Network)가 9월 25일(현지시간) 시스템 업그레이드 작업으로 인해 핵심 서비스인 회원가입과 로그인 기능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적 개선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이네트워크 커뮤니티에서는 대체로 차분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심각한 우려는 없는 상황이다.

파이코어팀(Pi Core Team)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이 소식을 전하며, 기술적 개선 작업이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은 시스템 업그레이드보다 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고객신원확인(KYC) 절차와 대형 거래소 상장이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최근 파이코어팀은 AI 기반의 ‘패스트트랙 KYC’ 시스템을 도입하여 메인넷 생태계에 빠르게 진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이달 초에는 ‘프로토콜 v23’이라는 테스트넷 업그레이드를 시행했다. 이번 업그레이드는 사용자 권한을 강화하고 신규 기능을 선보일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여전히 토큰 가격에 주목하고 있다. 파이네트워크의 원화로 약 375원에 거래되고 있는 PI 토큰은 최근 하루 동안 약 5%의 하락세를 보였으며, 이는 서비스 일시 중단과 함께 다가오는 대규모 토큰 언락 소식이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10월 1일에는 단 하루에 1,320만 PI 토큰이 시장에 유통될 예정이며, 한 달 내에 총 1억 3,700만 PI가 새롭게 발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로 인해 매도 압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결과 가격 변동성이 심화될 위험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업계 인사들은 여전히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X 플랫폼 사용자인 네할(Nehal)은 2025년 말까지 PI 토큰의 가격이 최대 1.50달러(약 2,085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다만, 이러한 전망이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거래소 상장이나 토큰 소각 메커니즘 같은 펀더멘털의 개선이 필수적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파이네트워크는 스마트폰 중심의 마이닝 모델을 통해 사용자 기반을 급속히 확대하였으나, 여전히 메인넷 전환과 거래소 상장과 같은 핵심 이슈를 해결하지 못한 상태다. 이번 일시 중단이 단기적 혼란으로 그칠지, 아니면 플랫폼 전환의 신호가 될지는 앞으로의 진전을 통해 지켜봐야 할 상황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