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분석가이자 금 투자 전문가로 잘 알려진 피터 시프가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내놓았다. 그는 다가오는 시장 침체를 단순히 ‘크립토 겨울’로 표현하는 것을 넘어, 회복 가능성이 없는 ‘크립토 빙하기’로 강조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불안을 자극했다.
시프는 “크립토 겨울이란 봄이 다시 온다는 것의 의미를 내포하지만, 이번에는 그런 계절이 다시 찾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는 암호화폐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침체 상황에서 금(Gold)의 가치를 강조하며 자산을 위험한 암호화폐에서 안전 자산으로 옮길 것을 촉구했다. 그의 발언은 현재 진행 중인 대규모 매도세와 관련이 깊다.
현재 비트코인(BTC)은 최근 24시간 동안 가격이 4% 하락했으며, 이더리움(ETH)은 같은 기간 동안 8% 급락했다. 이더리움은 지난 주에만 총 20% 하락 폭을 기록했다. 시프는 이더리움의 가격이 4,000달러 이하로 하락한 것에 대해 비꼬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솔라나(SOL)와 도지코인(DOGE) 역시 약 10%의 급락세를 보였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우려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들고 있다.
또한, 하루 동안 청산된 암호화폐 자산 규모는 10억 4,000만 달러에 달하며, 이는 시장의 유동성 리스크가 심각한 정도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급격한 매도세는 암호화폐 시장뿐만 아니라 미국 주식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미국의 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고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감소함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낮아진 상황이다. 이러한 거시경제적 배경이 비트코인과 같은 위험 자산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시프는 이러한 흐름이 비트코인을 보유한 상장 기업들의 재정적 생존조차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그는 비트코인을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의 주가가 고점 대비 45% 이상 하락했으며, 현재 약세장에서 그 생존이 불확실하다고 직격했다. 그는 “비트코인을 대규모로 보유한 기업에겐 매우 가혹한 약세장이 될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피터 시프의 발언은 일부에서 다소 극단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거시경제 환경과 암호화폐 시장의 고질적인 불안정성이 맞물려 현실적인 우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제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시장이 실제로 빙하기에 돌입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회복의 국면으로 전환할 것인지 더욱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며, 주의 깊게 시장을 바라봐야 할 시점에 놓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