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챗GPT 펄스’로 암호화폐 투자자 맞춤형 정보 제공 강화

[email protected]



오픈AI는 최근 챗GPT에 새로운 기능인 ‘펄스(Pulse)’를 도입하며 AI 비서 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이 펄스 기능은 사용자의 관심사와 일상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일 맞춤형 요약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 비서 스타일의 서비스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더욱 능동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5일(현지시간) 오픈AI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챗GPT 펄스를 공식 소개하며, 이 기능이 사용자에게 질문을 기다리지 않고도 관련된 정보를 스스로 제공하는 ‘능동형 경험’으로 이어진다고 밝혔다. 기존 챗GPT는 사용자로부터 질문을 받아 반응하는 형태였다면, 펄스는 대화 내역, 이전 피드백, 연결된 애플리케이션(예: 캘린더) 등을 분석하여 능동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현재 이 기능은 모바일 기준 챗GPT 프로(Pro)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주식 및 암호화폐 거래에 관심이 많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AI의 실시간 정보 처리 능력을 활용하려는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번 펄스 기능은 그러한 사용자층을 주요 타겟으로 삼고 있다. 최근 개인 트레이더들은 챗GPT를 활용하여 종목 분석을 실시하거나 실시간 매매 신호를 제시받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오픈AI는 사용자들에게 “이제는 챗GPT를 활용하기 위해 무엇을 물어봐야 하는지를 알 필요가 없다”며 “펄스 기능이 이러한 경계를 허물고 사용자가 아닌 AI가 다음 단계를 준비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번 업데이트는 미국 전 대통령 트럼프의 향후 거취에 대한 정보부터 시작하여, 암호화폐 가격 변동, 개인 일정 요약 등 개인 맞춤형 통찰력 제공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용자들은 기존 대화 내역을 기반으로 하루 한 번 주요 뉴스를 요약하여 제공받을 수 있어, 정보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오픈AI는 펄스 기능을 지속적으로 테스트하며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이처럼 챗GPT는 단순한 질의응답을 넘어, 일상 생활, 투자, 정보 큐레이션에 이르는 범위로 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만큼, 시장에서의 반응이 주목받고 있다. 오픈AI가 챗GPT에 도입한 ‘펄스’는 해당 기능을 통해 개인 맞춤형 정보의 제공을 더욱 강화하여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