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또다시 급격한 변동성을 보이며 휘청거렸다. 특히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XRP를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들이 일제히 급락하면서 시장 전반에서 약 1조 3,900억 원(10억 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다.
비트코인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올해 첫 금리 인하를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승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현재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다. 거래소 비트스탬프에서는 비트코인이 일시적으로 10만 8,600달러(약 1억 5,085만 원)까지 하락하며 9월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암호화폐 분석가 알리 마르티네즈는 “11만 달러 이하로의 하락은 시장 심리에 중대한 전환점을 암시하며, 따라서 11만 3,000달러(약 1억 5,707만 원) 회복이 절실하다”고 경고했다.
시장 분위기는 침체되어 있다. 대부분의 알트코인도 동반 하락하고 있으며, 특히 이더리움은 4,000달러(약 5,560만 원) 선이 무너지며 3,900달러(약 5,421만 원) 초반까지 후퇴했다. XRP 또한 지난 일주일 새 10% 가까이 하락하며 2.80달러(약 3,892만 원) 선을 간신히 유지하는 형국이다. 이러한 급락은 과도한 레버리지 거래자들에게 큰 타격을 입혔고, 코인글래스(CoinGlass)의 데이터에 따르면 하루 청산된 포지션은 총 22만 5,000건을 넘어섰다.
이번 조정에 대한 시장 전문가들의 해석은 다양하다. 대표적인 금 투자자인 피터 시프는 “이번 하락은 새로운 약세장의 시작”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크립토 애널리스트 캡틴 파이빅은 “이번 조정은 오히려 건강한 현상”이라며 “비트코인이 11만 3,000달러 저항선을 회복할 경우 연말까지 14만 달러(약 1억 9,460만 원) 상승도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급락이 단기적인 하락 압력보다는 오랜 기간 동안 누적된 과잉 낙관과 레버리지 비중이 맞물려 발생한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시장 변동성이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투자자들은 보다 신중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의 주요 암호화폐가 당분간 반등 없이 횡보할 경우, 알트코인 시장에 추가적인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