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요사키, 미국의 대규모 해고 경고… “생존 전략은 창업과 비트코인”

[email protected]



로버트 기요사키(Robert Kiyosaki) 미국 저자가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대규모 해고에 대한 경고를 전했다. 그는 “직업 안정성이 이제는 농담처럼 들린다”며, 자산 방어나 생존 전략으로 창업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요사키는 현재 미국 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여러분은 지금 해고 대상자 명단에 올라가 있는지 자문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기존의 직장 의존적 사고를 비판하며, 자영업이나 기업가적 경로를 통한 재정적 자유를 추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요사키는 단기적인 수익을 추구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재정적 자유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1976년 이후 미국이 총 22차례의 셧다운을 경험했으며, 특히 2018년의 34일간의 셧다운이 시장의 불안을 초래했던 사례를 들었다. 이때 비트코인(BTC)은 역시 영향을 받았으나 이후 급격한 회복을 보여준 바 있다.

실제로, 지난해 3월 셧다운 우려가 커질 때 비트코인은 한 주 만에 16% 상승하며 62,700달러에서 73,600달러로 급등한 역사가 있다. 이러한 촉진 요소는 기요사키가 언급한 화폐와 금융 시스템에 대한 신뢰 축소가 주효했음을 시사한다. 그는 “비트코인, 금, 은과 같은 물리적 자산에 투자하거나 자신의 사업을 운영하는 것이 더 나은 해법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정부와 은행 시스템에 의존한 단순 저축은 정치적 불확실성에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기요사키는 과거에도 비트코인의 가치를 꾸준히 언급하며, 이를 ‘국가 통제에서 벗어난 자유 자산’으로 강조해왔다. 이번 경고는 단순한 재정적 조언에 그치지 않고, 근본적인 사회 구조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로도 해석될 수 있다. 현재 미국 내에서는 정부의 셧다운이 평균 2~4주 이상 지속되지 않지만, 이러한 불확실성은 금융 시장의 급등락을 초래하여 투자자와 근로자 모두에게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기요사키의 발언은 단기적인 경기 불안에 대처할 뿐 아니라 장기적인 재정 전략의 재정비를 요구하는 중요한 메시지로 비쳐진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