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환시장 24시간 개방 추진…MSCI 편입 가속화 기대

[email protected]



한국 정부가 외환시장을 24시간 개방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증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국내 증시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기획재정부는 내년부터 한국의 외환시장이 24시간 운영될 예정이며, 외국인이 원화 거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 외환시장은 오전 9시부터 다음 날 새벽 2시까지 운영되며, 이 제한된 시간대에서 미국 투자자들의 외환 거래에 제약이 많았다. 24시간 개방 이후에는 이러한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환 거래의 자유화는 외국 금융기관들이 국내에 원화 계좌를 두고 직접 원화를 운용할 수 있게 하여 더욱 활성화될 것이다. 이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강화된 외환시장 규제를 완화하고, 주식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정부의 의지로 해석된다. 또,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투자 포트폴리오를 마련할 때 중요한 참고지표인 MSCI 선진국지수에 한국이 포함되기 위해서는 외환시장 개방이 필수적이다.

한국이 MSCI 선진국지수에 편입된다면 약 300억 달러 규모의 자금 유입이 예상된다. 현재 외국인 투자자들이 보유한 자금이 약 1,018조 원에 달하는 가운데, 외환시장 개방을 통해 추가 자금 유입이 이루어지면 증시의 밸류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열린 국가 투자설명회에서 한국 시장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를 해결하고, ‘코리아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기획재정부 장관은 MSCI 회장과의 회담을 통해 이러한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는 2028년까지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외환시장 개방은 외환 유동성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도 해석된다. 미국에 약속한 대규모 투자가 진행될 경우, 외환시장이 불안해질 가능성이 있어 이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외환시장을 24시간 개방하더라도 환율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과거에 외환시장 거래 시간을 연장 이후 특별한 부작용이 관측되지 않았으며, 시장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가능성도 크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 또한 외환시장의 개방이 오히려 정보가 가격에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변동성을 줄이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