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최근 10만 9,000달러(약 1억 5,151만 원) 이하로 하락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여러 인공지능(AI) 모델들은 여전히 이 상승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비트코인이 12만 4,000달러(약 1억 7,236만 원)에서 10만 8,000달러(약 1억 5,012만 원)로 하락한 이번 움직임은 일시적인 조정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오픈AI의 ChatGPT는 현재의 하락세가 “역사적인 조정 흐름과 일치한다”며, 이는 불 마켓 내부의 일시적인 후퇴일 뿐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대형 투자자들이 여전히 비트코인을 매입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단기적인 반등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ChatGPT는 현재 9만 5,000~10만 달러(약 1억 3,205만 원~1억 3,900만 원) 구간이 핵심적인 지지선이라고 언급하며, 이 영역이 붕괴될 경우 비트코인이 진정한 하락세에 들어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론 머스크가 운영하는 X 플랫폼의 AI 챗봇 ‘그록(Grok)’ 역시 유사한 전망을 보였다. 그록은 비트코인의 고점이 2025년 4분기 또는 2026년 초에 형성될 것이라고 예측하며, 이는 과거의 반감기 이후 나타났던 가격 정점과 일치하는 패턴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재 비트코인의 상대강도지수(RSI)가 ‘과매도’ 상태에 진입했다는 사실을 근거로, 단기적인 상승 시점이 가까워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거래소 내 비트코인 보유량이 현저히 증가하지 않았고, 이는 대규모 매도세의 부재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AI 모델인 퍼플렉서티(Perplexity)는 현재 시장 환경이 전환점에 이르렀다고 평가했다. 이 모델은 매수세 증가와 낮은 매도 압력을 감안할 때 새로운 상승장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미국 달러의 약세와 향후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도 긍정적인 요소로 꼽았다. 특히 현재의 시장 환경은 2020년 강세장 직전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분석이 주목된다.
그러나 일부 비평가들, 특히 금 투자자 피터 쉬프와 같은 회의론자들은 이번 하락을 전형적인 ‘하락장 진입’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에 비해 AI 모델들은 데이터 기반의 해석으로 장기적인 상승 추세의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단기간의 조정을 단순히 불 마켓의 종료로 간주하기에는 이르다는 것이 AI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향후 비트코인의 향방은 주요 지지선의 유지 여부, 금리 정책, 기관 수요의 흐름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비트코인 시장의 변동성이 높은 가운데, AI 분석가들은 여전히 긍정적인 재정 전망을 바탕으로 투자자들에게 조심스럽게 희망을 심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