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사상 최고가인 12만 4,000달러(약 1억 7,236만 원)에서 약 12% 하락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하락세가 단순한 자연스러운 조정인지 혹은 강세장의 폭락 신호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지만, 전문가들은 현재의 조정이 건강한 숨 고르기로 보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기업 크립토퀀트(CryptoQuant)는 이번 하락을 시장의 구조적 결함이 아닌 거래 레버리지 조정의 일환으로 분석했다. 비트코인은 2024년 초부터 꾸준히 신고점을 경신해왔으며, 현재도 장기적인 상승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가격이 10만 9,000달러에서 11만 달러(약 1억 5,151만 원~약 1억 5,290만 원)의 지지선 위에서 유지되고 있다면, 추가 하락보다는 가격이 횡보하거나 반등할 가능성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선물 시장에서도 비슷한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비트코인 파생상품 시장의 미결제약정은 단기적으로 줄어든 후 회복세로 돌아섰으며, 펀딩비 또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패턴은 단기 충격이 아닌 중장기적인 모멘텀 강화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과거의 사이클과 비교해 이번 흐름은 더욱 성숙한 시장의 모습을 보인다. 2017년의 개인 투자자 중심의 광풍이나 2021년의 급등과 급락과는 달리, 현재는 기관 투자자 및 현물 ETF로의 자금 유입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파생상품 주도의 일시적인 조정이 10~20% 수준으로 반복되며 새로운 유형의 사이클로 진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장기적으로 보면, 다음 비트코인의 신고점이 예상보다 더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크립토포테이토(CryptoPotato)는 일부 분석가들의 견해를 인용해 차기 정점이 2026년으로 연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전에는 비트코인 반감기 직후인 2024~2025년이 상승 정점으로 예상되었지만, 고금리와 기업 부채 만기 구조, 글로벌 투자 흐름 등 거시 경제 요인들이 이 시기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글로벌 매크로 투자사 글로벌매크로인베스터(Global Macro Investor)의 창립자 라울 팔(Raoul Pal)은 기업 채권의 만기가 4~5년 주기로 돌아오면서 세계 경제에 서서히 둔화를 일으키고 있고 이로 인해 비트코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의 시장 상황이 제한적인 유동성과 소비 부진, 기관 투자자 중심의 흐름 속에서 대부분의 가격 변동이 글로벌 자본 흐름에 의존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이번 비트코인의 하락은 단기적인 우려를 불러일으켰지만, 주요 기술적 지지선이 유지되며 기관 중심의 수급 흐름과 건전한 파생상품 데이터가 뒷받침되고 있어 전반적 강세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과거와 같은 빠른 신고점 경신은 어려워 보이며, 중단기적으로는 완만한 상승과 반복적인 조정을 겪는 시장 구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