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극심한 청산 현상이 일어나면서 투자자들이 큰 충격에 휘말리고 있다. 특히 리플(XRP)에서는 롱포지션 청산이 숏포지션에 비해 무려 63,500%라는 비정상적인 비율을 기록하며 주목을 끌고 있다. 이는 레버리지를 과도하게 활용한 투자자들에게 어떤 위험이 내재되어 있는지를 명확하게 경고하고 있다.
시장 데이터 제공업체인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XRP 롱포지션의 청산 규모는 약 63만 5,000달러(한화 약 8억 8,165만 원)에 달했지만, 숏포지션 청산은 겨우 1,000달러(약 139만 원)에 그쳤다. XRP 가격은 약 1%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포지션 편향성이 심각하게 맞물려 롱 청산이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XRP는 주로 2.82~2.84달러 구간에서 거래되고 있었지만, 많은 레버리지 사용자들이 청산을 피하지 못했다.
이러한 현상은 XRP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지난 24시간 동안 4억 달러(약 5,560억 원) 상당의 청산이 발생했다. 비트코인(BTC)은 주요 지지선인 113,000달러에서 무너져 111,800달러(약 1억 5,550만 원)까지 하락하며 투자자 심리를 위축시켰다. 이더리움(ETH)도 고작 하루 만에 1억 7,800만 달러(약 2,478억 원)의 자산이 소멸되었다. 솔라나(SOL) 역시 2,400만 달러(약 334억 원)가 정리되었고, XRP 및 도지코인(DOGE)과 같은 알트코인들도 큰 타격을 입었다.
이 기간 중 총청산에 직접 영향을 받은 투자자는 12만 8,000명에 달하며, 롱포지션에서의 손실이 두드러졌다. 롱 청산은 약 3억 3,300만 달러(약 4,629억 원)에 이른 반면, 숏 청산은 약 7,300만 달러(약 1,015억 원)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와 바이비트(Bybit)와 같은 주요 파생상품 거래소는 각각 6,250만 달러(약 869억 원) 이상의 손실을 경험했다. Binance와 OKX도 뒤를 이었다.
한편, 도지코인 고래 투자자들은 하락장 속에서도 2억 DOGE(약 6,672억 원)에 달하는 매집을 시도했다. 특정 지갑들이 단 48시간 만에 20억 DOGE를 추가 확보하는 등 가격 반등에 대한 기대가 형성되고 있다. 현재 도지코인 가격은 0.23~0.24달러로, 상승 추세선의 하단에 머물러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고래 매수세가 향후 시장 방향성을 바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청산 사태는 시장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과도한 레버리지와 포지션의 불균형은 전반적인 시장 리스크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보다 신중한 전략과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는 가운데, 앞으로의 변동성을 예측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