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최근 72시간 동안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약 2조 4,027억 원(17억 3,000만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이 주요 중앙화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이동했으며, 이 거래의 주체는 주로 ‘고래’로 분류되는 대형 투자자들이다. 이와 같은 대규모 이동은 가격 조정기에도 불구하고 주요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을 매도하기보다는 보유하거나 장기적인 전략에 집중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의 소식에 따르면, 최근 크라켄, 비트고, 갤럭시디지털, OKX 등 거래소에서 총 43만 1,018개의 이더리움(ETH)이 출금되어 16개의 지갑으로 분산되었다. 이들 지갑은 대다수가 개인 지갑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암호화폐가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기 매도 의사가 없다는 강한 보유 의지로 간주된다. 이와 같은 고래들의 전략적 매수와 보유는 시장에 상승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러한 매집 행위는 이더리움의 현재 공급량을 줄여 수급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격 측면에서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이더리움은 하루 동안 최고 4,069.17달러(약 5,656만 원), 최저 3,877.82달러(약 5,389만 원) 구간에서 등락을 거듭하며 현재 4,010.40달러(약 5,574만 원) 선을 회복했다. 이와 같은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전체 거래량이 위축된 상태로, 현재 거래량은 360억 달러(약 50조 4,000억 원)로 전일 대비 41.6% 급감해 가격 유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더욱이 주목할 점은 8년간 활동이 없었던 초기 이더리움 채굴자가 최근 깨어났다는 사실이다. 이 투자자는 두 개의 새 지갑으로 20만 ETH를 전송하였지만, 매도 행위는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해당 주소에는 총 73만 6,316 ETH가 남아 있으며, 이는 약 4조 156억 원(28억 9,000만 달러) 규모에 달한다. 이 장기 보유자의 행동은 시장 전체에 신중하면서도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더리움을 둘러싼 고래들의 잇따른 비축과 이체는 단순한 자산 이동을 넘어서서 의도된 전략 변화를 시사하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들이 앞으로 어떤 변화를 예고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이 이더리움 가격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에 대해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 뚜렷한 결론은 도출되지 않았지만 이전과는 분명히 다른 조짐이 관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