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가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소형주들은 여전히 소외받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기준 금리가 낮아지는 상황에서도 소형주가 누릴 혜택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최근까지 KRX 초소형 TMI 지수는 단 0.67%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가 25.52% 올랐고, 코스닥도 13.73%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턱없이 낮은 수치이다. 또한, KRX TMI 지수는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낮은 유동성을 가진 종목들이 포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소외받고 있다.
상대적으로 대형주와 중형주는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KRX 중대형 TMI 지수는 28.08% 상승했으며, 중형주와 소형주도 각각 14.03%와 7.34% 상승폭을 기록했다. 그러나 소형주는 코스피의 전반적인 상승에도 불구하고 4.58%에 불과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결국 시가총액이 100위권 내에 있는 대형 종목들이 코스피의 상승을 주도하는 한편, 소형주는 그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소형주들의 거래량도 심각한 차이를 보인다. 지난 4개월간 426개 종목으로 구성된 KRX 중형 지수는 200조4601억원의 거래액을 기록한 반면, 초소형 지수는 604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거래액은 오히려 51조9941억원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소형주들은 대형주에 비해 거래대금에서 6배 이상 뒤처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중소형주들이 대형주 없이도 긍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예를 들어, 러셀2000 지수는 같은 기간에 16.68% 상승하면서 대형주로 구성된 S&P500의 11.72% 및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의 8.7% 상승률을 앞서고 있다. 이는 미 연준이 금리 인하를 단행한 이후 중소형주가 활력을 되찾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소형주는 자금 조달 측면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상승세를 보여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소형주의 펀더멘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주주 환원 강화 기조에서도 소외받고 있다. KRX 초소형 TMI의 배당수익률은 0.62%로, KRX 중대형 TMI의 1.52%와 비교하여 상당히 낮다.
IBK투자증권의 정용택 수석연구위원은 “자금 사정이 열악한 중소형주는 주주 환원의 여력이 없기 때문에 올해 주가를 견인할 ‘밸류업 테마’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있다”며, “소형주의 경우 주로 내수 사업에 집중되어 있어 경기 침체의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론적으로, 한국 증시의 소형주는 대형주들과의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 내에서 점점 더 소외되고 있는 가운데, 보다 나은 투자 환경 조성과 자금 조달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