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두나무, 스테이블코인 기반 핀테크 협력 논의 본격화

[email protected]



네이버와 블록체인 기업 두나무가 전략적 사업 협력을 위한 논의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두 기업 간의 주식 교환을 포함한 지분 구조의 변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통해 네이버는 단기적인 수익 개선보다 앞으로의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수립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9일 대신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는 두나무와의 포괄적인 주식 교환을 비롯해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 중이다. 특히, 만일 주식 교환이 이뤄질 경우,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네이버파이낸셜의 최대주주로 취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네이버에 대한 영향력도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양사의 기업 가치를 살펴보면 이러한 시나리오가 현실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상장 기업인 두나무는 현재 기업가치가 약 12조 원에 달하는 반면, 네이버파이낸셜은 3조에서 5조 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도 두나무는 약 1조 1천90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반면, 네이버파이낸셜은 1천35억 원에 불과해 두나무의 규모와 수익성이 두드러진다.

대신증권은 이러한 수치를 기반으로 주식 교환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과 함께, 송 회장이 네이버파이낸셜의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했다. 이는 송 회장이 두 기업 간의 협업을 극대화하고 리더십을 강화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만약 네이버가 여전히 네이버파이낸셜의 최대주주 지위를 유지하고, 두나무의 실적이 네이버의 연결 실적에 포함된다면, 네이버의 지배주주 순이익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는 단기적으로 시장에서 긍정적인 기업가치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으나, 대신증권은 이번 협력 논의의 방향이 단기적 성과가 아닌 중장기 안목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결국, 네이버와 두나무는 원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즉 가치가 고정된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 스테이블코인은 네이버의 간편결제 시스템인 ‘네이버페이’와 연계되어 실물 경제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확보한 예치금은 새로운 금융 상품 및 대출 서비스를 통한 수익 모델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빅테크 기업들이 단순한 플랫폼 사업을 넘어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서비스로 확장하는 경향 속에서, 네이버가 경쟁력을 갖추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기존 사업 부문의 성장이 정체된 가운데 블록체인과 결제 시스템의 융합은 네이버의 전반적인 중장기 전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