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의 운영사 두나무를 계열사로 편입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만약 이 계획이 실제로 이루어진다면,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 간의 합병을 통해 글로벌 상장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29일 유진투자증권의 조태나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두나무와 네이버 간의 합병 및 지분 스왑이 이루어질 경우, 송치형 두나무 의장이 합병법인의 최대 주주로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 모두에게 최고의 ‘윈-윈’ 전략이 될 수 있다”며 긍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연구원은 두나무의 기업가치를 16조 원, 네이버파이낸셜을 4조 원으로 평가하며, 합병 비율은 약 80대 20으로 추정했다. 송 의장이 보유하고 있는 두나무 지분(25%)은 합병 후 약 20%로 환산되고, 네이버는 네이버파이낸셜 지분 69%를 기반으로 합병 시 13.8%의 지분을 가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합은 금융 플랫폼의 지배구조 개편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조 연구원은 “복잡한 절차와 규제 리스크 등을 감안하면, 단순한 지분 스왑 방식이 가장 현실적인 선택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두나무의 기존 주주들 입장에서도 단독 상장보다 합병 후 글로벌 상장을 통해 더 높은 기업 가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합병이 실현될 경우, 두나무와 네이버의 기업 가치는 현재 추정치보다 최소 1.5배에서 2배 이상의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 연구원은 “합병 이후 기업가치는 최대 40조 원에서 50조 원 이상으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두나무의 단독 상장보다 월등히 유리한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합병은 단순한 M&A가 아니라, 네이버의 금융과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역량이 두나무의 가상자산 기술력과 결합하여 새로운 ‘한국판 슈퍼앱’ 탄생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지고 있다. 두나무는 업비트를 통해 NFT 플랫폼, 증권형 토큰(STO), 블록체인 메인넷 등 다양한 서비스를 확장해 왔으며, 네이버는 웹툰, 커머스, 페이 등 다양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어 이 통합이 이뤄질 경우 가상자산과 콘텐츠, 결제가 연결된 생태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합병을 실제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과제가 남아있다. 특히 금융당국의 규제 여건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가상자산 업체와 금융 플랫폼의 결합이 국내에서 드물기 때문에, 금융소비자 보호와 공정 거래 이슈가 부각될 수 있다. 또한, 합병 비율을 두고 주주 간 이견이나 상장 전략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네이버파이낸셜의 주요 주주인 미래에셋증권의 입장이 정리되는 것 또한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다.
시장에서 전문가들은 이번 논의가 한국 디지털 금융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일부 관계자는 “두나무와 네이버의 결합은 단순한 몸집 불리기가 아니라, 한국 기업이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만약 이 합병이 성사된다면, 네이버는 새로운 금융 및 투자 플랫폼 구축의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고, 두나무는 국내 규제 환경을 벗어나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변화가 국내 ICT 및 가상자산 산업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 또한 주목할 만하다.